환경부

전체보기

자주찾는 메뉴메뉴   선택   후   저장   버튼을   눌러주세요(최대   6개   지정)

  • 정보공개
  • 국민소통
  • 법령·정책
  • 발행물
  • 알림·홍보
  • 기관소개

카드뉴스

  • 홈으로
게시물 조회
바이오가스 생산·이용 활성화 전략 발표
  • 부서명
    디지털소통팀
  • 등록자명
    한수지
  • 등록일자
    2024-06-20
  • 조회수
    3,381

환경부 바이오가스 생산·이용 활성화 전략 발표 ('24.6.20.) 2026년까지 연간 5억N㎥ 바이오가스 생산 추진으로, 연간 2,300억 원의 화석연료 대체, 100만톤/연 온실가스 감축 기대
바이오가스 생산·이용 활성화 전략 주요 내용 01. 유기성 폐자원을 다량 발생시키는 자에 대한 바이오가스 생산목표 부여 ▶ 2034년까지 공공은 50%, 민간은 10%, 향후 단계적 확대 *이해관계자 대상 설명회, 바이오가스 시설 현장조사, 이해관계자 의견수렴 등을 통해 세부 운영 기준 마련
바이오가스 생산·이용 활성화 전략 주요 내용 02. 통합 바이오가스화 생산기반 확충 ▶ 2종류 이상 유기성 폐자원을 투입하는 통합 바이오가스화 시설 집중 지원 * ('22년) 신규 3개소 → ('23년) 누적 7개소 → ('24년) 누적 15개소 ▶ 통합시설 설치 확대를 위한 제도 개선 * 인허가 절차 간소화, 복잡한 보조율 방식을 단순화 등 ▶ 유기성 폐자원을 바이오가스로 생산하기 위한 실증사업 및 연구개발(R&D) 사업 추진
바이오가스 생산·이용 활성화 전략 주요 내용 03. 생산 바이오가스 이용 확대 ▶ 생산된 바이오가스를 도시가스와 인근 수소 생산시설 등으로 직접 공급할 수 있는 규모 확대 * 1만N㎥ → 30만N㎥ (도시가스사업법 시행규칙 개정) ▶ 바이오가스를 활용한 수소 생산시설 설치 사업 지속 추진 *수소 생산시설 설치 : ('23년) 신규 2개소 → ('24년) 누적 4개소 ▶ 청정 메탄올(선박 연료로 사용) 생산에 바이오가스를 활용한 모델 발굴
바이오가스 생산목표제 시행, 생산시설 확충 지원, 수요처 다각화를 위한 제도 개선 등으로 재생에너지 생산을 확대하여 탄소중립에 기여하겠습니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