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

전체보기

자주찾는 메뉴메뉴   선택   후   저장   버튼을   눌러주세요(최대   6개   지정)

  • 정보공개
  • 국민소통
  • 법령·정책
  • 발행물
  • 알림·홍보
  • 기관소개

보도·설명

  • 홈으로
게시물 조회
경남 고성군 폐광산 주변지역 건강영향조사 진행경과
  • 등록자명
    강성구
  • 부서명
    환경보건정책과
  • 연락처
    2110-6960
  • 조회수
    5,583
  • 등록일자
    2004-09-24
□ 혈중 평균 카드뮴 농도는 병산마을이 3.3 μg/L(대조마을 2.2), 요중 평균 카드뮴 농도는 병산마을이 2.1 μg/g-크레아티닌(대조마을 1.5)로 대조지역에 비해 높았음
* 카드뮴에 직업적으로 노출되는 사람의 참고치로서 혈중농도 5 μg/L, 요중농도 5 μg/g-creatinine를 초과하는 사람은 각각 14명, 7명이었으며 이중 병산마을 주민은 각각 13명, 5명
혈중 납과 비소 농도도 마을간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음
1차 검진결과 병산마을이 대조지역에 비해 일반건강진단항목, 골밀도, 신장손상지표 등이 나쁘다는 증거는 없었음
이번 조사의 세부내역 포함, 최종 판단결과는 11월중 발표 예정
■ 건강영향조사 개요
ㅇ 7월 21, 22, 30일에 공동조사팀은 이번 조사에서 건강영향이 의심되는 병산리의 주민 102명과 대조지역인 송천리 주민 58명, 대평리 주민 94명을 대상으로 건강영향조사를 실시하였다.
- 이번 조사의 주요 검진항목은 혈압측정, 시력검사, 혈액검사, 소변검사, X-ray검사, 심전도검사, 골밀도검사 등 이었다.
ㅇ 공동조사팀은 9월 13일 건강영향조사 결과에 대한 전문가 검토회의를 하였으며,
ㅇ 공동위원회는 9월 21일 조사결과에 대한 심의를 거쳐, 9월 23일 그 결과를 발표하였다.
■ 검진결과 요약
ㅇ 혈중 카드뮴 농도 평균값은 병산마을이 3.3 μg/L 로 대조마을이 2.2 μg/L에 비해 높았으며, 요중 카드뮴 농도 평균값도 병산마을이 2.1 μg/g-creatinine으로 대조지역의 1.5 μg/g creatinine에 비해 높았다.
- 카드뮴에 직업적으로 노출되는 사람의 참고치로서 혈중농도 5 μg/L, 요중농도 5 μg/g-creatinine를 초과하는 사람은 각각 14명, 7명이었으며 이중 병산마을 주민은 각각 13명, 5명이었다.
ㅇ 혈중 납농도 평균치는 2.6㎍/dL로 대조지역(송천 2.4, 대평 2.9)과 유사한 수준이며, 비소는 3지역 모두 검출한도 이내로 밝혀졌다.
ㅇ 검진결과 병산마을이 평균적으로 대조지역에 비해 일반건강진단 항목, 골밀도, 신장손상지표 등이 나쁘다는 증거는 없었다.
■ 향후 추진계획
ㅇ 공동조사팀은 대조지역의 카드뮴 농도분포 상에서 95 percentile 값(혈중 카드뮴 농도 3.8μg/L, 요중 카드뮴 농도 3.7 μg/g creatinine)을 초과하는 사람을 대상으로 정밀검진을 실시하기로 하였다.
- 정밀검진 대상인원은 52명(병산마을 36명, 대조지역 16명) 내외이며, 10월 첫 주부터 신장기능(24시간 뇨검사 등)과 골밀도(대퇴골, 요추)에 대한 정밀검진을 실시할 예정이다.
ㅇ 공동조사팀이 이번 조사의 세부내용을 공개할 경우 최종결과를 예단하는데 잘못 사용될 수 있다는 의견을 제출함에 따라, 공동위원회는 심도있는 논의과정을 거쳐 공동조사팀의 의견을 수용하기로 결정하였고,
ㅇ 이에 따라, 공동위원회는 이번 조사의 세부내역을 포함한 모든 조사결과를 최종 조사가 완료되는 11월중에 발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 [ 참고 : 최종 발표 주요항목 ]
① 토양, 지하수, 하천수 및 저질 중금속 오염도
② 마을 상수원(간이상수도, 지하수)의 중금속 오염도
③ 비산먼지 중 중금속 함량
④ 농작물(깻잎, 고구마줄기, 콩)의 중금속 잔류농도
⑤ 해산물(자연산굴, 조개, 양식굴)의 중금속 잔류농도
⑥ 2차 정밀진단 대상자의 카드뮴 건강영향 여부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