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

전체보기

자주찾는 메뉴메뉴   선택   후   저장   버튼을   눌러주세요(최대   6개   지정)

  • 정보공개
  • 국민소통
  • 법령·정책
  • 발행물
  • 알림·홍보
  • 기관소개

보도·설명

  • 홈으로
게시물 조회
유해화학물질 배출 및 원료 절감 우수사례 발표
  • 등록자명
    이수일
  • 부서명
    유해물질과
  • 연락처
    504-9288
  • 조회수
    6,075
  • 등록일자
    2003-11-26
□ 화학물질 배출저감 우수업체인 (주)카프로, 동양제철화학(주)군산공장, 포스코(주)광양제철소의 사례발표□ 중·소업체에 대한 지원방안의 일환으로 토론회 개최
(''03. 11.26. 14:00∼17:00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대회의실)
■ 1999년부터 실시하고 있는 화학물질 배출량조사제도에 따라 많은 사업장에서 대기, 수계 등으로 배출되는 오염물질의 저감뿐 아니라 생산공정의 효율성이 개선되고 있다.
■ 환경부에서는 이와 같은 사례가 모든 사업장에 확산될 수 있도록 우수사례 발표회를 ''03. 11. 26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대회의실에서 개최하였으며, 여기에서 발표된 우수사례는 다음과 같다.
▶ (주)카프로(울산소재) : 수계로 배출되는 암모니아 배출량 "제로"화
화학물질 배출량조사를 통해 주요 원료중의 하나인 암모니아 약 260톤(연간)이 폐수에 함유되어 수계로 배출됨을 확인
이에 따라 암모니아 회수장치(역삼투막식)를 설치하여 배출되는 암모니아를 전량 회수하고 이를 비료제조원료로 사용(수계배출량의 99.9% 감축)
암모니아 회수과정에서 발생하는 순수(純水)(120톤/시)를 공정수로 사용
폐수중 암모니아를 회수함에 따라 불필요해진 폐수처리장 일부공정을 폐쇄하고, 이를 공장 부지로 활용
⇒ 배출량조사결과를 활용함으로써 환경개선은 물론 생산성향상을 달성
▶ 동양제철화학(주)군산공장(전북 군산소재) : 밸브, 배관 등에서 배출되는 대기 배출량 대폭 삭감
화학물질 배출량 조사를 통해 배관, 밸브, 펌프 등에서 많은 화학물질이 대기로 배출됨을 확인
배출원의 특성상 시설개선 보다 주기적인 누출감시 활동이 효과적이라는 결론에 따라 톨루엔 2,4-디이소시아네이트, 디니트로톨루엔 등 5개 화학물질이 배출되는 배관, 밸브, 펌프 등에 대한 주기적인 누출감시 활동을 전개
1999년 대비 물질별로 최저 81%에서 100%까지 저감함으로서 악취발생 저감, 설비오염 감소 등 작업환경개선과 함께 화학공장의 안전운전을 도모(안전사고예방)
▶ 포스코(주) 광양제철소(전남 광양소재) : 종합적인 배출량 저감 활동을 통하여 환경으로 배출되는 화학물질의 양 저감
화학물질 배출경로가 다양함에 따라 배출원의 특성을 반영한 배출량저감 대책 추진
배관에서 배출되는 VOC, NH3 등을 저감하기 위한 LDAR(leak detection and repair)시스템 도입
- 각 밸브, 펌프, 배관 등에서 배출되는 화학물질의 양을 주기적으로 측정하고 가스켓 등을 교체·보수함으로서 물질별로 환경배출량을 최고 98%까지 저감
- LDAR시스템을 통해 급격히 늘어나는 배관을 효과적으로 관리함으로써 악취발생저감, 작업장 환경개선, 사고예방효과를 달성
※ LDAR시스템 : 밸브, 플랜지 등에서 화학물질 누출여부를 Monitoring하고 누출지점 확인 즉시 보수하는 일련의 활동을 통하여 효과적으로 배출량 관리 및 저감시킬 수 있는 시스템
배기가스회수시설을 설치하여 VOCs물질 환경배출량 저감
- 부산물로 생산되는 VOCs물질 회수시설을 설치·운영하여 70%의 환경배출저감 및 회수된 물질 제품화
폐기물관리 효율화를 통한 배출량 최소화
- 폐기물에 함유되어 토양으로 이동되거나 매립되는 폐기물을 발생단계부터 판매용, 재활용, 자가매립용, 폐수처리장 유입처리용 등으로 구분 관리하여 1999년 94.1%에 머물던 재활용비율을 99.6%까지 향상
■ 화학물질 배출량조사제도의 성과가 가시화 되고 있음에 따라 환경부는 앞으로도 동 제도의 확산을 위한 노력을 지속적으로 강화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 환경친화기업 지정에 자발적인 배출량저감노력 적극반영
- 중·소업체에 대한 기술지원 및 정보제공 강화
- 배출량 조사대상업체 및 화학물질 지속 확대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