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

전체보기

자주찾는 메뉴메뉴   선택   후   저장   버튼을   눌러주세요(최대   6개   지정)

  • 정보공개
  • 국민소통
  • 법령·정책
  • 발행물
  • 알림·홍보
  • 기관소개

보도·설명

  • 홈으로
게시물 조회
습지보전법
  • 등록자명
    오상헌
  • 부서명
    자연자원과
  • 조회수
    12,372
  • 등록일자
    1999-09-22
ㅇ 생물다양성의 보고인 동시에 오염물질정화기능을 가진 습지를
효율적으로 보전·관리함으로써 국토의 효율적 이용을 도모하고,
물새서식처로서국제적으로중요한습지에관한협약(람사협약)과 관련한
국제협력의 증진에 이바지하기 위하여 지난 2월 8일 제정ㆍ공포된
습지보전법이 8월 9일부터 시행된다.
ㅇ 습지보전법의 주요내용은 5년마다 습지기초조사 실시 및 습지보전
기본계획 수립ㆍ시행, 습지보호지역등의 지정 및 보전에 관한 시책의
수립·시행 등이다
ㅇ 환경부는 '99년 8월 9일부터 시행될 습지보전법에 따라 생태적으
로 중요한 내륙습지의 보전을 위해 습지조사를 올해부터 연차적으로
실시하여 생태우수습지에 대해 습지보호지역으로 지정하는 등 습지
보호를 위한 국가관리를 강화하기로 하였다.
ㅇ 우선 환경부는 습지보전법 시행에 따라 보호가치가 높은 제주도
기생화산의 물영아리늪(제주도 남제주군 남원읍 수망리 산 189번지)
에 대해 습지보전법에 의한 습지보호지역으로 지정할 예정이다.
ㅇ 또한 법적 보호야생조류인 가창오리의 최대 도래지인 전남 해남의
고천암에 대해 습지보호지역 지정검토를 위해 올 8월부터 정밀생태
조사를 실시 할 예정이다.
ㅇ 내년부터는 내륙습지에 대한 체계적인 조사를 연차적으로 실시
하여 그 결과를 토대로 전국 습지보전기본계획을 수립ㆍ시행할
예정이며, 조사결과 생태적으로 중요한 습지에 대하여는 습지
보전법에 의한 "습지보호지역"으로 지정ㆍ추진할 예정이다.
ㅇ 습지보호지역으로 지정될 경우 습지보호를 위하여 습지보전법
제13조 규정에 의하여 건축물의 신축 또는 증축(증축의 경우 기존
연면적의 2배이내 가능) 및 토지의 형질변경, 매립ㆍ간척, 흙·모래
·자갈 및 광물의 채취, 동·식물의 인위적 도입, 경작, 포획 또는
채취(해당 지역주민이 생계수단 또는 여가활동 등의 목적으로 지속
하여 온 경작·포획 또는 채취의 경우는 제외) 등이 금지된다
(위반시 최고 3년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원 이하의 벌금).
< 첨 부 >
제주도 물영아리늪
<일반개요>
소재지 : 제주도 남제주군 남원읍 수망리 산 189번지
산 높이: 508m, 둘레: 4,339m, 면적: 717,013㎡
<생태적 특성>
물영아리는 규모는 작지만 제주도 기생화산의 대표성과 전형적인
온대지역 산지습지의 특징을 보이며, 완벽히 그 원형이 보전된 늪과
자연성이 높은 숲이 어우러져 우리나라 대표적인 산지습지로 평가됨
즉, 물영아리는 온대 산지습지의 전형적인 특징과 자연습지의
교과서적 모델을 제공
<생태조사 결과>
조사기관 : 한국자연보전협회 (조사자 정규용교수(안동대)등)
조사기간 : '98. 5∼8
식물
134종류 (총60과 11속 119종 2아종 11변종 2품종)
남방계 식물인 양치식물이 많고 귀하식물이 없음 (인간에 의한
간섭이 없는 자연생태계임을 나타냄)
한국특산식물 : 3종류 (할미밀방, 솔비나무, 죽대),
국제적멸종위기식물 : 3종류(새우난초, 섬사철난, 갈매기난초)
기타 희귀종 : 11종 (할미밀방, 관중, 졸록나무, 힌라돌쩌귀,
솔비나무, 사람주나무, 초피나무, 꽝꽝나무, 곰취, 죽대,
새우난초)
습지식물 10여종 : 물여뀌, 넓은잎미꾸리낚시, 물고추나물, 마름,
쉽싸리, 가막사리, 보풀, 바늘골, 네모골, 세모고랭이
식생
습지식물군락의 종조성 및 공간적 분포양식이 극히 원시상태로
발달, 난온대 및 냉온대 산지습지의 전형적인 구조유지 자연습지
의 교과서적 모델을 제공 (자연습지의 복원을 위한 모델 제시)
보전가치가 극히 높은 자연식생 유지
- 예덕나무-상산군락은 물영아리의 전형적인 임연군락
- 참식나무-금새우난군락 물영아리 삼림의 대표적인 자연식생
곤충
종류: 7목 23과 41종
법적 보호곤충인 물장군 다수 서식 (12개체 확인)
제주도 습지만의 독특한 곤충상 나타냄
양서·파충류
종류: 3목 2아목 8과 12종 (양서류 5종, 파충류 7종)
육지에서 희귀한 대륙유혈목이, 줄장지뱀등 서식
인위적 교란등 외부 간섭이 적고 종다양성이 높은 안정된 군집을
형성
화분분석
화분분석결과 물영아리지역은 기원전 약 2,600년부터 현재까지
낙엽활엽수림(서어나무, 서어나무-참나무)이 우점하였고 늪은
그 시대부터 현재까지 인간 간섭으로부터 격리되어 그 원형이
보전됨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