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

전체보기

자주찾는 메뉴메뉴   선택   후   저장   버튼을   눌러주세요(최대   6개   지정)

  • 정보공개
  • 국민소통
  • 법령·정책
  • 발행물
  • 알림·홍보
  • 기관소개

보도·설명

  • 홈으로
게시물 조회
서울신문「“타당성 검토 부실··· 졸속 추진”학계등 반발」기사에 대하여
  • 등록자명
    김홍주
  • 부서명
    자연자원과
  • 연락처
    02-2110-6761
  • 조회수
    7,557
  • 등록일자
    2006-07-03
 

2006년 7월 3일 서울신문「“타당성 검토 부실··· 졸속 추진”학계등 반발」

기사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해명합니다.


□ 보도 주요내용

  ○ 2일 환경부 등에 따르면 2015년까지 10년 동안 추진될 종복원사업 종합계획 뼈대가 사실상 결정

    - 지난 1월 발표한 잠정안에서 일부 수정되었으며 늦어도 이달 중순 멸종위기종 증식·복원 종합

      계획 발표 예정

  ○ IUCN 야생동물방사지침 등 국제적 통용기준이 준수되지 않았으며 1년여 연구용역 만으로 멸종

    위기종을 10년 만에 복원시키겠다는 계획은 상당히 큰 문제


□ 해명사항

○ 우리부에서 추진중인 멸종위기종 증식·복원 종합계획은 졸속으로 추진된 것이 아니라 여러

  단계에 걸친 관계 전문가, 환경단체 등의 의견수렴을 통해 만들어진 것임을 밝혀둡니다.

  - 환경부에서는 종합계획 수립을 위하여 ’05.4월~12월까지 8개월에 걸쳐「멸종위기종 증식·

   복원에 관한 연구」용역을 시행(전북대학교)하였으며 동 연구용역 시행과정에서 관계

    전문가 자문 등 의견수렴을 수차례 실시하였습니다.

  - 또한 동 용역완료 이후에도 국립환경과학원, 국립공원관리공단,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등 전문기관의 내부검토를 거쳐 종합계획 초안을 마련하였으며, ’06.5월~6월까지 2개월에

    걸친 외부 전문가, 환경단체 등의 의견수렴 과정을 거쳤습니다.

 

○ 아울러 동 기사에서 인용한 일부 전문가의 의견은 현재 수립중인『멸종위기종 증식·복원

  종합계획(‘06~’15)』에 포함되어 있는 내용으로 실제 종별 증식·복원 실행계획 수립 시에는

  타당성 검토, 복원 대상지역 파악, 질병연구 등 국제적인 기준을 참고하여 종별 세부추진계획

  을 수립하여 추진할 계획입니다.

 

○ 멸종위기종 증식·복원 종합계획은 10년 내에 54종을 복원 완료하겠다는 계획이 아니고,

   향후 10년 동안 추진할 복원사업에 대한 계획입니다.

  - 멸종위기종 복원은 수십 년 이상 장기간이 소요되는 사업이므로 이를 추진하는 과정에서

    각 단계별로 더욱 많은 의견수렴 절차를 진행하고 의견수렴 과정에서 제시된 의견이 충분히

    반영될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하여 추진하도록 하겠습니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