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

전체보기

자주찾는 메뉴메뉴   선택   후   저장   버튼을   눌러주세요(최대   6개   지정)

  • 정보공개
  • 국민소통
  • 법령·정책
  • 발행물
  • 알림·홍보
  • 기관소개

보도·설명

  • 홈으로
게시물 조회
2002년도 화학물질 배출량 조사결과 발표
  • 등록자명
    박광호
  • 부서명
    화학물질안전과
  • 연락처
    2110-7951
  • 조회수
    5,484
  • 등록일자
    2004-08-03
◇ ''99년 화학물질 배출량 조사 실시이후 처음으로 화학물질의 취급량과 배출량이 1.3%, 6.3%가 각각 감소
총 배출량 34천톤의 99.6%가 대기 중으로 배출
발암(우려,가능)물질 및 내분비계장애추정물질의 배출량은 지난해에 비하여 감소 추세
■ 환경부는 화학제품, 1차금속 등 28개 업종의 종업원수 50인 이상인 3,784개 업체를 대상으로, 조사대상 240개 물질에 대하여 실시한 “화학물질 배출량조사”를 분석한 결과
2002년도 조사된 화학물질의 취급량과 배출량은 각각 93.8백만톤, 34.3천톤으로, ''99년도 화학물질 배출량 조사이후 처음으로 취급량과 배출량이 모두 감소하였다고 밝혔다.
- 배출량은 전년도(36.6천톤) 대비 6.3% 감소하였는데 조사대상물질 및 업체가 증가한 점을 감안하면 감소율은 더 클 것으로 판단
- 취급량은 전년도(95백만톤) 대비 1.3% 감소
- 취급량 대비 배출량도 지속적으로 감소 추세[0.052%(''00)→0.038(''01)→0.037(''02)]
■ 배출량 저감의 주요인은 생산공정 및 방지시설 개선 등의 업계의 지속적인 저감노력과 배출량산정의 복잡성으로 인한 시행초기의 산정오류정정, 산정방법 변경 등으로 나타났다.
■ 배출된 화학물질 34.3천톤의 배출형태를 분석한 결과, 매체별로는 대기, 물질별로는 메틸 알콜, 업종별로는 화학제품의 배출비중이 제일  높았다.
배출량의 대부분인 99.6%가 대기중으로 배출되었으며, 나머지는  수계(0.4%) 또는 토양으로 배출
물질별로는 휘발성이 높은 물질인 메틸 알콜(18.9%), 톨루엔(14.7%), 크실렌(11.5%) 등 3종이 총 배출량의 45.1%를 차지
업종별로는 화학제품(28.3%), 펄프․종이제품(14.3%), 기타 운송장비(11.9%) 등 3개 업종이 전체 배출량의 54.5%를 차지
산업단지별로는 석유정제 및 화학업종이 밀집된 울산미포(11.6%) 및 전남여수(7.9%)와 다양한 제조업이 많이 밀집된 경기반월(3.6%)산업단지에서 다량배출
지역별로는 메틸 알콜과 톨루엔 배출비율이 높은 대구(19.9%), 대규모 산업단지가 많이 위치한 울산(14.5%)과 경남(11.7%) 순으로 많이 배출
■ 배출량의 99.6%가 대기 중으로 배출되며, 이중 점오염원에서 46.5%, 누출오염원(Fugitive)에서 53.5%가 배출되고 있어 앞으로 산업계에서는 대기분야와 누출오염원에서 배출되는 양을 줄이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 미국 제조업의 대기배출은 ''88년에는 79%를 차지하였으나 ''02년에는 53.3%를 차지하는 등 배출량조사를 통해 대기배출이 가장 많이 저감되었고, 대기배출량 중 누출오염원의 비율도 낮음( ''88: 32.2%, ''02: 23.3%)
※ 산업계는 LDAR(leak detection and repair) 시스템을 도입하는 등 누출오염원을 저감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배출량조사제도가 도입된 후 기업체에서는 누출오염원에서 많은 양의 원료물질이 손실되고 있다는 것을 인지하고 특히, 일부 대기업에서는 동 시스템을 도입하여 원료물질을 회수하고 근로자의 건강과 사고예방 활동에도 활용하고 있음)
※ 환경부의 권유와 기업체의 자발적인 의지로 배출량을 현저히 저감시킨 사업장의 한 사례로, 한국알스트롬(주)는 축열식 산화장치를 설치하여 메틸 알콜의 배출량 저감과 에너지 절감을 획기적으로 이룩한 예가 있음  
■ 국제암연구소(IARC)의 분류기준에 의한 발암(우려, 가능)물질은 PVC수지 원료물질인 염화비닐, 각종 방향족화합물 합성출발물질인 벤젠 등 40종이 배출되었으며, 배출량은 지난해 5,767톤에 비해 3.8% 감소한 5,547톤(총 배출량의 16.2%)으로 조사되었다.
발암물질 등의 배출은 업종별로는 화학제품(62.2%), 자동차(10.5%), 석유정제(6.1%) 등 3개 업종이 78.8%를 차지하며,
지역별로는 울산(23.9%), 전남(17.4%), 전북(15.2%)이 많이 배출
■ 환경으로 배출된 물질중 내분비계장애추정물질은 플라스틱 가소제(可塑劑)로 주로 사용되는  디(2-에틸헥실)프탈레이트 등 7종이며, 배출량은 142톤(총 배출량의 0.4%)으로 지난해에 비하여 4.7%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업종별로는 플라스틱(65.8%), 화학제품(35.3%)에서 주로 배출되고,  플라스틱제조업은 취급량(7.6%) 대비 배출량(65.8%)이 많음
■ 특히, ''99년부터 4년 연속 배출량 조사가 실시된 석유정제, 화학업종의 경우 취급량 대비 배출량이 현저히 감소하여 본조사가  배출량 저감에 상당한 기여를 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화학제품, 석유 등 2개 업종의 취급량 대비 배출비율 변화
- 0.05%(''99) → 0.03%(''00)→ 0.02%(''01)→ 0.01%(''02)
■ 그러나 이 조사결과는 직접측정법뿐만 아니라 배출계수법을 많이 적용하였고, 기업체 스스로가 보고한 자료를 바탕으로 종합한 자료이므로 기업체의 조사능력과 성실도 또한, 행정기관의 검증 한계 등으로 일정 부분 제한사항이 있음을 환경부는 아울러 밝히고 있다.  
■ 환경부는 앞으로 기업체 스스로 화학물질의 배출량을 저감시켜 나가도록 이 조사결과를 사업장별로 공개하는 방안과 기업체의 자발적 배출량   저감을 촉진하기 위하여 기업체에게 권고 또는 자발적 협약을 맺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 그리고 배출량 조사대상 물질 및 업종을 지속적으로 확대하고, 보다 정확한 배출량 조사기법도 개발․보급하여 자료의 신뢰도를 제고해 나가기로 했다. 또한 단계별로 배출량 총센서스를 실시하고 배출량 개선이 뚜렷한 기업체를 상대로 우수사례 발표와 포상을 실시할 계획임을 밝혔다.
<참고자료>
붙임 : 1. 화학물질 배출량조사제도 개요
2. 연도별 화학물질 배출량변화(1999~2002)
3. 화학물질 배출량 조사결과(2002)
4. 미국의 2002년도 화학물질 배출량 조사결과
5. 유해화학물질 배출저감 우수사례 사업장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