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

전체보기

자주찾는 메뉴메뉴   선택   후   저장   버튼을   눌러주세요(최대   6개   지정)

  • 정보공개
  • 국민소통
  • 법령·정책
  • 발행물
  • 알림·홍보
  • 기관소개

보도·설명

  • 홈으로
게시물 조회
사업장폐기물 소각시설 주변의 다이옥신 실태조사(Ⅱ) 결과발표
  • 등록자명
    신선경
  • 부서명
    국립환경과학원
  • 연락처
    032-560-7285
  • 조회수
    5,261
  • 등록일자
    2005-09-06
□ 실태조사 결과 공단지역 6개 소각시설 굴뚝의 다이옥신 배출농도는 법적기준 이하이고,
토양 중 다이옥신 농도도 미국(주거지)·일본(토양환경기준)·독일(주택지) 기준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남.
■ 국립환경과학원은「폐기물소각시설 주변지역 다이옥신 잔류실태 조사 계획(''03~''08년까지 6년간 총 34개 소각시설 조사)」에 따라 2차년도 실태 조사를 공단지역을 중심으로 6개 소각시설 주변지역 토양·대기 등의   다이옥신 농도를 조사하였다.
■ 실태조사 결과를 보면,
각 소각시설 배출가스 중 다이옥신 농도를 각 2회 측정한 결과, 평균 0.334~16.408ng-TEQ/m3으로 사업장폐기물 소각시설 다이옥신 배출기준을 충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다이옥신 배출기준은 대형시설(4톤/시간 이상) 20, 중소형시설 40 ng-TEQ/m3이나, ''06.1.1부터 대형시설 1, 중소형시설 5~10으로 배출기준이 강화됨
대기모델링으로 예측된 소각시설 오염물질 최대착지지점 대기중 다이옥신 평균농도(2회 : 여름1·겨울1)는 0.032~0.330pg-TEQ/m3로 나타났다.  
※ 일본 대기환경기준 : 연평균 0.6 pg-TEQ/m3 이하
소각시설 반경 0.25, 0.5, 1, 2km 동심원별 각 6지점(소각시설별 24지점)  이상의 토양중 다이옥신 농도를 측정한 결과, 불검출~130.39(평균 11.38) pg-TEQ/g으로 나타났다.
주1) 외국의 토양중 다이옥신 권고기준(단위 : pg-TEQ/g)  
·미국: 1,000(주거지), 5,000~20,000(상공업지역) ·일본: 1,000(토양환경기준)  
·독일: 1,000(주택지), 100(어린이놀이터), 10,000(산업 및 상업지역)
-  다이옥신 이성체별 군집 분석 및 주성분 분석결과, 소각시설 주변 토양 다이옥신은 공단내 다수의 고정배출원과 자동차, 농약 등에 의한 복합적인 작용으로 추정되어, 확인을 위한 추가조사를 병행·실시할 예정이다.
한편, 소각시설의 방류수 중 다이옥신 농도는 불검출~0.014 pg-TEQ/L,   저질중 다이옥신 농도는 0.005~0.008 pg-TEQ/g 이었다.
※ 일본의 소각시설 배출가스 세정수 방류기준 : 10 pg-TEQ/L 이하
■ 국립환경과학원은 추진 계획에 따라 2008년까지 매년 5~6개 폐기물소각시설을 선정하여 주변 토양·대기 등 환경매체 중 다이옥신 실태를 조사할 예정이다.
<참고자료>
1. 조사대상 소각시설 및 측정 현황
2. 소각시설 주변 다이옥신 측정결과
3. 폐기물 소각과 다이옥신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