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

전체보기

자주찾는 메뉴메뉴   선택   후   저장   버튼을   눌러주세요(최대   6개   지정)

  • 정보공개
  • 국민소통
  • 법령·정책
  • 발행물
  • 알림·홍보
  • 기관소개

보도·설명

  • 홈으로
게시물 조회
환경부, 전국 정수장관리 종합대책 발표
  • 등록자명
    선종오
  • 부서명
    선종오
  • 조회수
    10,593
  • 등록일자
    2001-05-03
『수돗물 중의 바이러스 분포실태 연구·조사』사업중간결과에 대한
수질개선대책
△ 환경부는 수돗물의 바이러스 분포실태를 정확히 규명하기 위하여
1997.12.31 ∼ 2001. 5.26 기간중 「수돗물 중의 바이러스 분포실태
연구·조사」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 본 사업은 국립환경연구원 주관으로 국립보건원, KIST 생명공학연
구소(박순희 박사) 및 경희대학교(김형석, 정용석 교수) 등 조사팀이
참여하고 있으며, 분석방법은 미국 환경보호청(EPA)의 정보수집법
(Information Collection Rule: ICR)에서 규정하고 있는 '총세포배양
법'을 적용하였다.
△ 환경부는 전국 정수장 589개에 대하여 규모별, 지역별 및 수원 종
류별 특성 등을 종합 고려하여 대표성을 갖는 64개소를   선정하
고 "대규모" ⇒ "중소규모" 순으로 연차별 사업을 진행하여 금년 4월
현재까지 55개소의 조사를 완료하였다(잔여 9개소는 5월말 완료 예
정).
금년 4월 현재까지의 조사결과에 따르면,
- 전국 수돗물 공급량의 81%를 차지하고 있는 대규모 정수장 (1일
10만톤 이상) 24개소에 대하여 1, 2차연도사업으로 조사를 실시한 결
과, 수돗물의 원료가 되는 상수원수(上水原水) 에서는 24개소 중 10개
소에서 바이러스가 검출되었으나 정수장 및 가정급수의 수돗물에서는
바이러스가 검출되지 않았다.
※ 제1차 : '97.12.31∼'98.12.30, 제2차 ; '98.12.23
∼'99.11.22
- 한편, 중소규모 정수장(1일 10만톤 미만) 40개소를 대상으로 추
진되는 3차연도 조사사업(2000.5.27∼2001.5.26)의 경우, 금년 4월 현
재까지 31개 정수장을 조사한 결과 9개소의 상수 원수에서 바이러스
가 검출되었고, 3개소의 정수장 수돗물(남양주시 화도정수장, 영천시
화북정수장, 양평군 양평정수장) 및 2개소의 가정급수 수돗물(하남시
신장2동, 영동군 심천면)에서 바이러스가 검출되었다.
조사의 신뢰성 확보 및 원인규명을 위해 바이러스가 검출된 정수
장에 대한 1차 모니터링조사를 실시한 결과 2개소의 정수장 수돗물  
(남양주 화도정수장, 영동군 영동정수장) 및 2개소의 가정급수   수돗
물(여주시 여주읍, 공주시 옥룡동)에서 바이러스가 각각 검출되었다.
그러나, 기술진단에 의해 소독시설 보완 및 운영관리 개선조치를
실시한 후 다시 2차 모니터링조사를 실시한 결과, 바이러스가 검출되
었던 6개소 정수장(표1)의 모든 경우 정수장 수돗물과 가정급수 수돗
물에서 바이러스가 검출되지 아니하였다.
△ 바이러스가 검출된 정수장에 대한 기술진단 결과, 정수장 수돗물
과 가정급수 수돗물에서 바이러스가 검출되는 원인은 다음과 같이 밝
혀졌다.
① 소독미비로 인한 필요소독능(必要消毒能) 부족
- 3개 정수장(하남, 영동, 화북)의 경우 필요소독능 부족
② 운영인력 전문성 부족으로 정수장 운영 부실
- 4개 정수장(하남, 화북, 화도, 영동)의 경우 간헐적 운전 등 운
영 부적정
③ 관 노후 등으로 인한 급·배수 과정의 바이러스 오염 가능성
- 2개 정수장(여주, 영동)의 경우 노후관 등을 통한 오염 추정
④ 취수장 위치 부적정으로 인한 바이러스 검출 가능성 상존
- 2개 정수장(화도, 옥룡)은 취수구 인근에 오염원 위치 등
이들 바이러스 검출원인은 전문성과 재정력이 떨어지는 지방자치  
단체의 정수장 부실운영과 상수도시설 개량 부진에 기인한 것으로,  
지방자치단체의 수질관리에 대한 관심과 정책의 우선순위에 따라  정
수장 운영실태가 큰 차이를 나타내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이에
따라 환경부는 앞으로 일제 점검을 거쳐 정수장 운영관리를  부실하
게 하는 지자체에  대하여는 수도법 제21조(위생상의 조치) 및 제61조
(벌칙)의 규정에 의거 형사고발 등 엄중히 조치하기로 하였다.
△ 이번 조사결과를 토대로 환경부는 중소규모 정수장을 포함한 전
국  정수장에 대한 위생관리를 강화하는 등 총 3개 분야 15대 정책과
제를 선정하고, 2001~2005 기간 중 총 19조6천억원을 투입하는 장·단
기종합대책(수돗물수질관리종합대책: 도표1)을 마련하였다.
연내에 착수하는 단기대책(9개 정책과제)
① 문제 정수장 정밀 기술진단·지원(2001.3)
- 수질기준 초과 또는 개선명령을 받은 정수장, 연간 40개소 진단
(수자원공사)
② 전국 중·소규모 정수장 소독능 일제 점검(2001.5∼6)
- 중·소규모 정수장 540개소의 소독능 점검(지방환경청, 시·도,
수자원공사 합동)
③ 수돗물 수질기준 강화
- 탁도기준을 1NTU → 0.5NTU로 강화(2001.7)
- 분원성 대장균군 및 대장균 기준 추가(2001.11)
- 먹는물 수질기준 강화: 47개('01) ⇒ 85개('05)
④ 수돗물 바이러스 처리기준(Treatment Technique) 도입('01.12)
- 필요소독능 개념을 도입한 소독과 여과에 관한 처리기준(TT) 제
정 및 정기 안전진단 실시
⑤ 조직 보강 및 운영인력 전문화
- 정수처리 및 위생관리 교육과정 신설(국립환경연구원 연수부)
-  환경부에「수돗물 미생물 관리대책반」설치·운영(2001.4.20)
- 환경부에「수돗물 미생물 관리위원회」설치·운영(2001.5)
- 국립환경연구원에 정수처리기술 연구를 전담하는「상수도기술과」
신설 추진
⑥ 정화조 일제 점검(2001.5∼7)
- 상수원 주변 정화조 일제 점검  
⑦ 정수장 운영관리실태 평가 실시(2001.3∼12)
- 5만톤 미만의 511개 정수장에 대해 현지실사 및 평가 실시
⑧ 하·폐수종말처리시설 소독시설 설치 의무화(2001.9)
- 방류수 수질기준에 대장균군을 추가하고, 소독시설 설치
⑨정수장 효율개선 종합프로그램 도입(2001.7)
- 표준화된 CCP(Composite Correction Program) 방법으로 기존 정수
장의  문제점 종합분석, 단기간에 시설 운영효율 향상 및 수질개선 극
대화
중·장기대책(6개 정책과제)
⑩  4대강 수질개선대책의 차질 없는 추진(2001)
- 2001년부터 2005년까지 17조5,489억원을 투입, 모든 상수원의 수
질을  Ⅱ급수(BOD 3㎎/ℓ이하) 이상으로 개선
⑪ 취수원 다변화 사업 추진(2001∼2008)
- 낙동강 수계에 상수원수 개선 위해 강변여과수 및 생물전처리시
설 설치
⑫ 지하수를 이용한 대체 상수원 개발·이용 확대(2001∼2006)
- 지하수의 상수원수 이용율 확대로 급수취약지역 급수난 해소
⑬ 상수도 시설의 운영관리 민영화 추진(2001.7)
- 민간의 전문기술 및 책임 경영기법을 도입
- 연내 민영화 시범사업 추진
⑭ 노후수도관 교체사업 강력 추진(2001.1)
- 2001년부터 2005년까지 1조1,067억원을 투입하여 노후 수도관
15,307 km 교체 ⇒ 국고지원 추진
⑮ 상수도 운영·관리 정보화(e-상하수도) 사업 추진(2001.5)
- 수돗물 관련 정보를 국민에게 신속히 제공하여 수돗물 정책의 신
뢰성·투명성을 높이고, 이상 발생시 즉각 조치
△ 환경부는 이상의 15대 사업을 중심으로 수돗물 수질관리를 최우
선  정책과제로 추진하여 국민에게 안전하고 깨끗한 물 공급에 최선
을 다할 것이며,  
특히, 금년 하반기부터 도입키로 한 "수돗물 바이러스 처리기준
(TT : Treatment Technique)" 제도는 수돗물에 바이러스가 잔류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미국에서 운용하고 있는 소독능(消毒能) 관리  기준
(규정)으로서 수돗물의 바이러스 차단에 효과적으로 기여할 것으로 기
대하고 있다.
또한, 현장에서 종합대책의  실효성을 직접 검증·보완하기 위하
여 전국의 취약 정수시설을 대상으로 추적조사사업(Virus Monitoring)
을 지속적으로 추진함으로써 수질개선에 가시적 성과를 제고해 나갈
방침이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