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

전체보기

자주찾는 메뉴메뉴   선택   후   저장   버튼을   눌러주세요(최대   6개   지정)

  • 정보공개
  • 국민소통
  • 법령·정책
  • 발행물
  • 알림·홍보
  • 기관소개

보도·설명

  • 홈으로
게시물 조회
최우수 하수처리시설에 포상금 5천만원 지급
  • 등록자명
    남선광
  • 부서명
    생활하수과
  • 조회수
    5,897
  • 등록일자
    2005-10-20

최우수 하수처리시설에 포상금 5천만원 지급

◇ 서울 난지, 대구 지산, 강원 삼척, 충북 보은, 충남 연기

□ 환경부는 전국 하수처리장을 대상으로 ‘04년도 운영관리실태를 평가한 결과, 서울특별시 난지, 대구광역시 지산 하수처리장 등 5개소를 최우수 하수처리시설로 선정하였다.

  ○ 평가방법은 전국 244개 하수처리장을 규모별로 5개 그룹으로 나누고, 하수도행정(16점), 하수관거 정비(17점), 처리장 운영(42점), 슬러지 관리(13점), 시설의 선진화(12점) 등 5개 분야 30개 항목에 대하여 평가를 실시한 후 종합순위에 따라 5개 등급  으로 분류하였다.

    - 최우수(1개소), 우수(상위 20%), 보통(상위 21~60%), 미흡(상위 61~80%), 아주미흡(상위 81~100%)

구 분

Ⅰ그룹

(10만톤 이상)

Ⅱ그룹

(10~3만톤)

Ⅲ그룹

(3~1만톤)

Ⅳ그룹

(1~0.3만톤)

Ⅴ그룹

(0.3만톤미만)

평가대상

44개소

38개소

52개소

56개소

54개소

평가

결과

최우수

서울난지(87.4점)

대구지산(83.6점)

강원삼척(80.3점)

충북보은(84.7점)

충남전의(83.3점)

2위

대구서부(86.4점)

평택장당(83.0점)

경북상주(78.6점)

충북내속(76.3점)

충북회북(80.6점)

3위

서울탄천(84.6점)

충북제천(82.1점)

경기연천(76.7점)

충북괴산(72.1점)

충남안면(76.3점)

□ 최우수하수처리시설의 평가내용을 살펴보면

  ○ Ⅰ그룹 : 서울특별시 난지하수처리장

    - 탄탄한 행정적 뒷받침과 숙련된 운영기술로 하수관거 정비, 하수처리장 운전․관리, 슬러지 관리 등 모든 항목에서 전반적으로 우수

    - 하수관거 보급률 100%, 하수관거 GIS구축 99.1%, 하수도요금 현실화율 101.6%, 등

  ○ Ⅱ그룹 : 대구광역시 지산하수처리장

    - 하수관거 정비, 운전․관리 분야 등에서 높은 평가

    - 하수처리장 평균 방류수질(BOD 0.7㎎/ℓ)이 방류수수질기준의 7/100수준으로 매우 양호하여 낙동강수계의 수질개선에 기여

  ○ Ⅲ그룹 : 삼척시 삼척하수처리장

    - 하수도 행정, 하수처리장 운전․관리 분야에서 우수

    - 효율적․경제적인 운영관리로 하수처리단가가 톤당 87.5원(Ⅲ그룹 평균 372원)으로 다른 하수처리장에 비하여 저렴

  ○ Ⅳ그룹 : 보은군 보은하수처리장

    - 하수처리장 운전․관리, 슬러지 관리 분야에서 우수하게 평가

    - 발생된 하수슬러지 전량(876톤/년)을 시멘트원료로 재활용

  ○ Ⅴ그룹 : 연기군 전의하수처리장

    - 하수도 행정, 하수처리장 운전․관리, 슬러지 관리 분야에서 우수

    - 연간 75천톤의 하수처리수를 인근 농경지 11ha(33천평)에 농업용수로 공급


□ 이번에 최우수처리시설로 선정된 5개 하수처리장에 대하여 인증패와 환경부 장관 표창을 수여 하고, 해당 자치단체에는 포상금 각 5천만원을 지급할 계획이다.

 ○ 한편, ‘아주 미흡’ 평가를 받은 하수처리장은 해당 지자체별로 개선계획을 수립하여 시행토록 하고, 유역(지방)환경청에서 이행여부를 정기적으로 확인할 계획이다.

□ 환경부는 이번 평가 결과를 홈페이지에 공개하고 하수도연찬회를 개최하여 우수사례 발표를 통하여 운영 노하우를 공유토록 함으로써 자치단체간 선의의 경쟁과 하수처리장 운영 효율을 한층 더 높일 수 있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하고 있다.


<참고자료>

붙임 : 최우수하수처리시설 시상계획 및 수상자 명단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