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

전체보기

자주찾는 메뉴메뉴   선택   후   저장   버튼을   눌러주세요(최대   6개   지정)

  • 정보공개
  • 국민소통
  • 법령·정책
  • 발행물
  • 알림·홍보
  • 기관소개

보도·설명

  • 홈으로
게시물 조회
(설명) 부산·대구·경남 수돗물에서 조류독소가 검출되지 않았음 [대구MBC 2022.8.31.자 기사 등 관련 다수 기사에 대한 설명]
  • 등록자명
    서윤식
  • 부서명
    물이용기획과
  • 연락처
    044-201-7126
  • 조회수
    4,486
  • 등록일자
    2022-08-31

2022년 8월 31일자 대구MBC <대구·부산·경남 가정집 수돗물서 마이크로시스틴 검출…미국 기준치 5.83배 초과> 등 관련 다수 기사에 대해 다음과 같이 설명드립니다.


기사 내용에 대한 환경부 설명내용


환경부에서는 낙동강 유역내 정수장 수돗물에서 마이크로시스틴이 검출되었다는 주장에 대해, 


- 지난 8월 2일에 부산, 대구, 경남지역 정수장 5곳*의 수돗물을 대상으로, 환경단체가 활용한 ELISA법과 환경부 고시에 따른 분석법인 LC-MS/MS법 2개의 분석법으로 마이크로시스틴을 분석한 결과, 5곳 모두에서 마이크로시스틴이 검출되지 않았음

* (대구) 문산, 매곡, (부산) 화명, 덕산, (경남) 함안칠서


- 추가로, 8월 23일부터 24일간 부산, 대구, 경남, 경북지역 정수장 10곳*의 수돗물을 대상으로, 두가지 분석법을 활용하여 마이크로시스틴을 분석한 결과, 10곳 모두에서도 마이크로시스틴이 검출되지 않았음 

* (대구) 문산, 매곡, (부산) 화명, 덕산, (경남) 마산칠서, 반송, 대산, 삼계, (경북) 구미, 고령


- 아울러, 낙동강 본류를 취수원으로 사용하는 정수장에서는 매주 1~2회 마이크로시스틴을 분석하고 있으며, 현재까지 모든 정수장에서 마이크로시스틴이 검출되지 않고 있음. 또한, 분석결과는 국가상수도정보시스템 홈페이지를 통해 국민에게 공개하고 있음


참고로, 환경단체가 활용한 ELISA 분석법은 미국 환경보호청(EPA)에서 제시하고 있는 조류독소분석법 중 하나지만 표시한계(Reporting Level)가 0.3㎍/L로서, 0.3 미만의 값은 신뢰도가 낮아 검출량을 산정하는 자료로 활용되지 않고 있음(EPA, 미규제 오염물질 모니터링 규칙)

 

- 환경부 고시에 따른 분석법인 고성능액체크로마토그래피법(LC-MS/MS법 등)은 미국 EPA에서 제시하고 있는 조류독소분석법 중 하나로 정확도가 높은 방법이며 표시한계가 0.02~0.006㎍/L임

* 미국 EPA의 총마이크로시스틴 기준은 성인 1.6㎍/L, 영유아 0.3㎍/L임


붙임 : 미국 EPA 분석방법의 표시한계 1부.  끝.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