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

전체보기

자주찾는 메뉴메뉴   선택   후   저장   버튼을   눌러주세요(최대   6개   지정)

  • 정보공개
  • 국민소통
  • 법령·정책
  • 발행물
  • 알림·홍보
  • 기관소개

보도·설명

  • 홈으로
게시물 조회
“붕어요리 먹기 찜찜하네” 기사에 대한 해명
  • 등록자명
    이정용
  • 부서명
    유해물질과
  • 조회수
    7,886
  • 등록일자
    2007-01-04

2007년 1월 4일 조선일보 “붕어요리 먹기 찜찜하네”기사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해명합니다.



□ 보도 주요내용
① 이성생식세포가 발견되는 비율은 2003년 4.8%, 2004년 5.3%, 2005년 4.8% 수준이었으나 이번

     조사에서 8%로 껑충 뛰었다.
② 환경과학원 이철우 박사는 “현재로서 생물체의 내분비계장애를 일으키는 환경호르몬의 영향

     으로 추정된다”고 말했다.


□ 해명사항
①에 대하여
’03~’05년의 이성생식세포 발현 비율은 전국 20지점(800개체)에 대한 평균이고 금번 조사결과

      에서 나타난 8%는 그간 발현 비율이 높았던 4개 지점(100개체)에 조사 결과로서, 직접적인 비

      교는 어려움
- 지금까지 생태영향 조사 결과, 지점별로 이성생식세포 발현 비율은 0~17.5% 범위였으며

       금번 조사결과에서도 5~15%(평균 8%) 범위로 검출되어 그간 조사결과와 유사한 수준을

       나타냄

 

<연도별 이성생식세포 발현 비율>

수계

지점

조사 개체수

이성생식세포 발현 비율

2003년

개체(%)

   2004년

개체(%)

2005년

개체(%)

2006년

개체(%)

한강

여주

40

실시않음

3(7.5%)

2 (5%)

-

경안천

40

2(5%)

1(2.5%)

0 (0%)

-

춘천댐

40

0(0%)

4(10%)

0 (0%)

-

복하천 

40

4(10%)

3(7.5%)

5 (12.5%)

1(5%)

낙동강

왜관

40

0(0%)

5(12.5%)

2 (5%)

-

고령

40

1(2.5%)

0(0%)

3 (7.5%)

-

낙동강하구언

40

0(0%)

6(15%)

1 (2.5%)

3(15%)

남강

40

0(0%)

0(0%)

0 (0%)

-

금강

대청댐

40

5(12.5%)

6(15%)

4 (10%)

3(7.5%)

부여

40

0(0%)

3(7.5%)

1 (2.5%)

-

미호천

40

0(0%)

1(2.5%)

2 (5%)

-

영산강 

무안

40

실시않음

0(0%)

0 (0%)

-

나주

40

7(17.5%)

2(5%)

1 (2.5%)

-

담양댐

40

3(7.5%)

1(2.5%)

2 (5%)

1(5%)

태화강

명촌

40

6(12.5%)

2(5%)

3 (7.5%)

-

섬진강

하동

40

3(7.5%)

1(2.5%)

4 (10%)

-

강릉연곡천

강릉

40

1(2.5%)

2(5%)

2 (5%)

-

양양남대천

양양

40

0(0%)

0(0%)

1 (2.5%)

-

삽교천

온천천

40

3(7.5%)

1(2.5%)

2 (10%)

-

습지

주남저수지

40

0(0%)

1(2.5%)

3 (7.5%)

-

합계

 

800

(100)

38(4.8%)

42(5.3%)

38(4.8%)

8(8%)

  ※ 2003년도의 경우, 구미(2개체(5%)), 광주천(1개체(2.5%))를 포함해서 총 38개체 출현

  ※ 2006년의 경우, 4개 조사지점 중 복하천, 담양댐, 하구언은 20개체를 채집하였으며 대청댐은 40개체 채집(총 100개체 채집)

 

 ②에 대하여

    ○ 이 사항과 관련하여 국립환경과학원 담당자는 다음과 같이 언급함

       - “이러한 현상(이성생식세포 발현)에 대해서는 붕어류에 대한 생리학적 연구 자료가 부족한

           상태이므로 정확한 원인은 현재 알 수 없음”

    ○ 담당자의 언급과 같이 붕어의 이성생식세포 발현의 원인을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해서는

        성장이나 생식 등 생리학적 특성 등 관련 기초 자료가 축적될 필요가 있으며 앞으로 이를

        위해 지속적인 조사연구를 추진할 계획임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