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

전체보기

자주찾는 메뉴메뉴   선택   후   저장   버튼을   눌러주세요(최대   6개   지정)

  • 정보공개
  • 국민소통
  • 법령·정책
  • 발행물
  • 알림·홍보
  • 기관소개

보도·설명

  • 홈으로
게시물 조회
“태안주민 건강조사, 제대로 했나?” 보도에 대한 해명
  • 등록자명
    조성준
  • 부서명
    환경보건정책과
  • 조회수
    4,566
  • 등록일자
    2008-05-30
 

2008년 5월 29일 MBC 뉴스투데이의 “태안주민 건강조사, 제대로 했나?” 보도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해명합니다.


□ 보도내용

  ○ 일    시 : 2008. 5.29(목) 오전 7시 22분경

  ○ 보도매체 : MBC 뉴스 투데이

  ○ 보도내용 

   ① 정부는 유해물질이 몸속에 들어온 정도가 전반적으로 ‘작업기준’ 이하라고 주장하고,

       기준치가 훨씬 높은 노동부 작업기준을 적용해 별 문제가 없다고 결론을 내린 것이라고 보도

   ② 피해지역 주민들이 자살충동을 느끼는 경우가 19.4%로 일반 성인에 비해 우려할 수준이

       아니라 주장했다고 보도

   ③ 방제기간이 길수록 주민들은 몸이 아프다고 호소했지만, 필터마스크를 쓰면 보호효과가

       뚜렷하다는게 정부조사의 결론이라고 보도

    

□ 해명사항

  < ①에 대하여 >

  ○ 휘발성유기오염물질에 대해서는 국내에 일반인에 대한 환경노출 기준치가 없으며, 당시

     방제작업과정의 노출수준이 작업장 수준과 유사하다는 가정하에 비교된 것임.

  ○ 조사대상 주민과 자원봉사자의 생체지표에 대한 중간 분석결과, 전반적으로 매우 낮은

     대사산물 농도를 보였으며,

    - 다만, 대조지역보다 노출지역 주민들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농도를 보였으므로 중장기

      적인 조사평가가 필요하다는 것이 연구에 참여한 전문가들의 의견임

  < ②에 대하여 >

  ○ 우리나라의 자살충동률에 대한 공식통계는 19%(보건복지부 발표)이며, 이는 20세 이상을

      조사대상으로 하고 있음

  ○ 자살충동률은 대체로 연령이 낮을수록 높게 나타나는데(10대가 가장 높음), 태안지역 건강

     영향조사에는 노년층이 많아 19.4%로 나타난 것으로 보임

  < ③에 대하여 >

  ○ 필터마스크의 절대적 보호효과를 의미한 것이 아니며, 착용자와 미착용자를 비교하였을때

     착용자에서 상대적으로 유해물질 노출량이 적었다는 것을 의미함

  < 기타 사항 >

  ○ 이번 태안지역 건강영향조사는 사고직후 환경단체와 전문가를 중심으로 자발적인 조사

     연구가 기획되었고, 민·관합동회의 주관하에 조사·연구, 분석이 진행되고 있음

  ○ 이번 발표는 중간결과 발표로서, 초기노출이 우려된 휘발성유기오염물질에 관한 것이며,

      지속적 노출이 예상되는 비휘발성오염물질(방향족탄화수소류 및 중금속)의 생체 농도

     분석결과 및 세부적인 설문조사 분석은 8월에 최종 발표될 예정임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