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

전체보기

자주찾는 메뉴메뉴   선택   후   저장   버튼을   눌러주세요(최대   6개   지정)

  • 정보공개
  • 국민소통
  • 법령·정책
  • 발행물
  • 알림·홍보
  • 기관소개

보도·설명

  • 홈으로
게시물 조회
지하수중 방사성물질 함유실태 조사사업 2000년도 조사결과 발표
  • 등록자명
    박선구
  • 부서명
    박선구
  • 조회수
    8,792
  • 등록일자
    2001-05-04
1. 국립환경연구원은 지난해에 한국지질자원연구원(연구책임자:성익
환 박사)에 용역 의뢰하여 실시한 지하수중의 방사성물질 함유실태 조
사 2차년도(2000) 결과를 발표하였다.
2. 지하수중의 방사성물질 함유실태 조사는 지난 1998년 5월 대전지역
의 지하수에서 다량의 방사성물질이 검출되었다는 신문보도와 함께 이
에 관한 정확한 실태를 파악하고 그 대책을 강구할 필요성이 제기됨
에 따라 실시하게 되었다. 구체적으로 전국의 주요 암석층별로 지하
수 중의 우라늄, 라돈, 라듐, 전알파(gross-α) 등 방사성물질 함유실
태를 조사하고 그 관리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4개년계획(1999∼2002)
을 수립하여 추진하고 있으며, 1999년도에 실시한 1차 조사에서는 대
전 충청지역의 흑색셰일(black shale)암층을 조사한 바 있다.
3. 2000년도에는 우리나라에 가장 많이 분포되어 있는 심성암 지역
145개소의 지하수에 대하여 방사성물질 함유량, 지하수중 방사성물질
과 지질구조 및 지화학적 관련성, 외국의 먹는물중 방사성물질 관리실
태 등을 조사하였으며, 그 주요 조사결과는 다음과 같다.
지하수중 방사성물질 함유량은 라듐과 전알파는 미국의 기준치
(226-Ra   : 5pCi/L, 전 알파 : 15pCi/L)를 넘는 경우는 없었으나,
우라늄은 2개소가 캐나다 기준치 100ppb를 초과하였고, 라돈은 45개소
에서 미국의 제안치 3,000pCi/L 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먹는물 중 방사성물질에 대한 각국의 수질기준은 다음과 같다.
ㅇ 우라늄의 경우 전세계 여러나라중 캐나다만이 기준치를 100ppb
로 규정하고 있으며, 미국은 1991년 제안치로 20ppb를 정하고, 2001년
까지 규제기준을 정하는 작업을 진행중에 있다.
※ 미국의 먹는물수질기준 설정단계
임시단계(Tentative) →제안단계(Proposed) →등록단계(List)
→초안단계(Draft) → 최종단계(Final)
ㅇ 라돈의 경우 아직까지 규제기준을 채택한 나라는 없으며 미국
이 1991년 300pCi/L를 제안치로 채택하였다가 1997년 이를 철회한 후
1999년 3월에 3,000pCi/L로 조정하여 2001년까지 규제기준을 설정하
는 작업을 진행중에 있다.
ㅇ 전알파의 경우 미국만이 기준치를 15pCi/L로 규정하고 있으며,
세계보건기구(WHO)는 권장치(guidline)를 2.7pCi/L로 규정하고 있다.
ㅇ 이와같이 방사성물질에 대한 수질기준은 미국, 캐나다 등 극소
수 국가에 불과한데, 그 이유는 환경오염물질이나 유해화학물질과는
달리 방사성물질은 암석과 토양에서 자연적으로 나오며 그 배출규제
가 매우 어렵기 때문이다.
먹는물중 방사성물질의 노출평가 결과는 다음과 같다.
ㅇ 조사지역의 방사성물질 평균함유 지하수를 매일 2L씩 마실 경
우 우라늄의 인체 노출수준은 WHO 권고치(0.1mSv/year)의 0.2% 정도
인 0.0002 mSv/year로 매우 낮은 수준이나, 2개 조사지점에서는 WHO
권고치보다 약 2배  높게 나타났다.
※ 우라늄 기준초과 2개소는 현재 음용수로 사용하지 않고 있음
[1개소(포천) : 세차용, 1개소(여주) : 현재 사용치 않음]
ㅇ 환경중 방사성물질의 다경로(Multi-Media Pathway) 노출평가를
부분적으로 충북 괴산군의 5가구를 대상으로 하여본 결과, 라돈은 지
하수 음용에 의한 것보다 실내공기 흡입에 의한 노출이 18배정도 더
큰 것으로 평가 되었다.
※ 라돈의 실내유입 : 토양에서 발생되어 건축물의 틈새나 지하
수 등을 통해 들어오며 건축물 자체에서도 발생됨.
4. 환경부는 이번 조사결과에 대한 조치와 향후 정책방향을 다음과 같
이 마련하고 있다.
조사결과 우라늄 100ppb를 초과하는 지역(2개소)의 지하수에 대해
서는 '경고문'을 게시하여 식수로 사용하지 못하도록 조치하고,
라돈 함량이 3,000pCi/L를 초과하는 지하수에 대하여도 경고문을
게시하여 3,000pCi 이하로 정수처리 후 음용토록 조치할 계획이다[라
돈은 반감기가 3.8일인 점을 감안하여 며칠간 방치하거나 폭기
(aeration)를 하면 쉽게 제거할 수 있음].
지하수중의 방사성물질 관리방안으로는 현재 진행중인 3차 조사결
과와 외국의 사례를 참조하고 우리나라에서의 방사선 노출정도, 건강
영향, 처리비용, 사회·경제적, 기술적인 여건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
하여 2002년에 우리나라 실정에 맞는 수질기준 설정과 관리대안을 강
구토록 할 방침이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