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

전체보기

자주찾는 메뉴메뉴   선택   후   저장   버튼을   눌러주세요(최대   6개   지정)

  • 정보공개
  • 국민소통
  • 법령·정책
  • 발행물
  • 알림·홍보
  • 기관소개

보도·설명

  • 홈으로
게시물 조회
겨울철 조류 동시센서스 결과
  • 등록자명
    김혜숙
  • 부서명
    자연자원과
  • 조회수
    8,721
  • 등록일자
    2001-04-09
ㅁ 겨울철 조류 동시센서스 결과
- 전국 114개 지역에서 189종 964,266개체 관찰
- 국내 최대 규모의 겨울철새 도래지는 시화호로 밝혀짐
ㅇ 환경부는 국내 철새도래지에 대한 현황파악 및 철새에 대한 일반
국민의 관심을 증진시키고자 2001년 1월 30일 천수만, 금강하구 등 전
국 114개 주요 철새 도래지를 대상으로 122명의 관계 전문가가 참여하
여 『전국 겨울철 조류 동시센서스』를 실시하였다
ㅇ 센서스 결과 관찰된 조류는 총 189종 964,266개체('00년 186종
1,184,694개체)였으며 '00년 대비 맹금류(황조롱이, 독수리 등)는 증
가(294→530개체)하였으나 수면성오리류(청둥오리 등)는 감소(909,009
→654,148개체)하였다. 맹금류의 증가 원인은 인위적인 먹이공급 및
먹이탐색으로 인하여 관찰이 용이하였음에 기인하며, 개체수의 감소
원인은 호수의 잦은 결빙과 폭설 등 한파로 우리나라보다 따뜻한 일
본 등 다른 곳으로 이동했기 때문으로 분석되었다
ㅇ 물새류(전체 월동집단의 90.8% 차지)를 분류군별로 살펴보면 오리
류가 28종 714,641개체(74.1%), 갈매기류가 11종 78,734개체(8.2%),
기러기류가 6종 45,680개체(4.7%)로 오리류의 심한 편중현상이 나타났
으며, 또한 벼낟알과 수초를 먹는 청둥오리 등 수면성오리류(초식)는
15종 654,148개체로 전체 오리류의 91.5%를, 어·패류를 먹는 흰죽지
등 잠수성오리류(육식)는 13종 60,433개체로 8.5%를 차지하였다
ㅇ 개체수가 가장 많이 관찰된 종은 청둥오리(264,118개체)> 가창오리
(185,699개체)> 흰뺨검둥오리(93,369개체)> 혹부리오리(44,710개체)>
흰죽지(33,070개체) 순으로 이들 종의 1∼3위는 '00년과 동일하며, 또
한 이 3개종은 총 543,186개체로 전체 월동집단의 56.3%('00년 67.1%)
를 차지하였고, '00년 대비 청둥오리 170,353개체, 흰뺨검둥오리
54,567개체, 흰죽지 28,114개체, 가창오리 26,255개체가 감소하였다
ㅇ 개체수가 가장 많이 관찰된 지역은 시화호(53종 171,202개체)> 동
림저수지(17종 156,299개체)> 만경강(21종 98,364개체)> 금강호(28종
49,507개체)> 간월호(72종 41,822개체)> 낙동강 하구(61종 30,402개
체)> 금강 하구(19종 22,658개체) 순으로 낙동강을 제외한 전 지역이
서해안에 분포하고 있으며 시화호와 간월호는 매년 지속적으로 많은
개체수가 도래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 그 외 지역별로는 새만금지역(만경강, 동진강)이 107천개체, 천
수만지역(간월·부남호)이 59천개체, 해남지역(영산·영암·금호·고
천암호)이 32천개체가 도래하였다
ㅇ 법정 보호종인 멸종위기종은 두루미, 노랑부리저어새 등 8종 500개
체가 관찰되어 '00년(409개체)보다 91개체가 증가하였고 특히 두루미
는 409개체('00년 338개체)로 가장 많이 증가하였으며, '99년부터 3년
간 결과에 의하면 철원평야, 천수만지역(간월호) 등은 멸종위기종이
가장 많이 서식하는 중요한 지역으로 나타났다. 보호종은 28종
221,088개체가 관찰되었고 증가한 종은 검은머리물떼새, 큰고니, 흑기
러기 및 독수리와 말똥가리 등의 맹금류이며 감소한 종은 가창오리,
큰기러기, 검은머리갈매기 등 이었다. 또한 '99, '00년에 관찰되지 않
은 호사비오리(제주 성산-남원해안) 13개체와 비둘기조롱이(대호호) 1
개체가 관찰되었다
ㅇ 여름철새인 백로류(왜가리, 쇠백로, 중대백로 등)가 1,630개체 관
찰되어 이들 백로류의 일부 개체가 우리나라에서 매년('00년 2,401마
리, '99년 1,757개체) 연중 서식하여 텃새화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
었다
ㅇ 따라서 환경부에서는 이번 센서스 결과에 따라 법정보호종인 두루
미 등 멸종위기종이 많이 서식하는 철원평야와 천수만지역(간월호),
시화호, 동림저수지 등 주요 철새 서식지에 대하여 지자체 및 민간단
체와 협력하여 불법포획 등 위반행위의 단속과 지속적인 철새의 보호
관리를 추진할 계획이다
붙 임  2001년 전국 겨울철새 동시센서스 결과 1부.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