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

전체보기

자주찾는 메뉴메뉴   선택   후   저장   버튼을   눌러주세요(최대   6개   지정)

  • 정보공개
  • 국민소통
  • 법령·정책
  • 발행물
  • 알림·홍보
  • 기관소개

보도·설명

  • 홈으로
게시물 조회
국민의 정부 3개년, 달라진 환경정책
  • 등록자명
    김법정
  • 부서명
    정책총괄과
  • 조회수
    8,566
  • 등록일자
    2001-02-26

o '98. 2월 국민의 정부가 출범한 이래 로 ① 4대강 물관리물수급도시 공기질 관 리폐기물관리환경산업국토환경관 리 부문에서 환경정책이 선진화되고 대통령의 국정기조가 환경을 중시하는 방향으로 바뀌고 있음을 읽을 수 있다.

분야별

종 전

국 민 의 정 부

① 4대강 물관리

ㅇ 상류지역에 대한 규제에 상응한 지원책 미흡

오염총량관리제 도입

수변구역 및 보안림 지정

물이용 부담금 징수

ㅇ 수계관리위원회 설치운영

⇒ 상·하류간 개발과 보전을 둘러싼 갈등심화

⇒ 상·하류간 협력공영의 틀 구축

 

 

 

 

 

 

 

 

 

- 한 강 : '98.11.20 확정

- 낙동강 : '99.12.30 확정

- 금강·영산강 : 2000.10.24 확정

 

 

② 물수급 부문

ㅇ 댐건설에 의한 공급위주의 정책

수요관리 중심으로 정책전환

⇒ 지역주민 반대 및 생태계 파괴

동강댐 건설계획 취소

물절약 종합대책 추진

도시 공기질
관리

ㅇ 자동차 배출가스 기준관리

ㅇ 대형 경유차(시내버스)의 연료를 천연가스로 대체

- 2001. 2월 현재 80대 운행중

- 2002년까지 5천대 보급

- 2007년까지 전량(2만대) 대체

⇒ 도시 공기질의 근원적
개선에 한계

⇒ 도시 공기질을 선진국 수준으로 개선

폐기물 관리

ㅇ생산자 비용부담 정책

생산자책임 재활용제도로 전환

⇒ 공공부문 처리로 낮은 효율성

⇒ 생산자 자율관리로 효율성 제고

 

 

 

 

 

 

 

 

 

- 폐가전제품 : 2000. 6. 1 체결

- 폐형광등 : 2000.11. 6 체결

- 폐유리병 : 2001. 2.21 체결

 

 

환경산업

ㅇ 국가정책 영역에서 제외

국가 중점 육성분야로 책정

- 환경기술개발에 1조원 투자(10년간)

- 2001년도 예산 500억원 책정

⇒ 영세한 주변산업으로 낙후

⇒ 정보(IT)산업, 생명(BT)산업과 함께 환경(ET)산업국가 전략산업으로 육성(2003년까지 1조 9,720억원 투자)

국토환경관리

ㅇ 개발을 통한 공급

위주의 국토·토지 정책

ㅇ 생태적·경관적 요소를 국토정책에 반영

- 사전환경성검토제도 도입

- 환경부에 국토환경보전과 설치

⇒ 국토 난개발 초래

⇒ 환경성을 고려한 국토개발 유도

국정최고책임자의 환경 철학

ㅇ 경제우선 정책

- 시화호 담수화 실패

- 새만금사업 교훈

ㅇ 경제와 환경정책간의 조화

- 지속가능발전위원회 설치(2000.9.15)

- 동강댐 백지화(2000.6.5)

⇒ 현안중심의 환경정책

⇒ 장기비전에 토대한 환경정책

o 이는 개발보다 환경보전에 가치우위를 두는 사회적 인식변 화와 국민적 요구를 적극적으로 수용하려는 정부의 의지와 함께 국정 최고책임자인 대통령의 환경에 대한 지대한 관심이 환경정책으로 나타 난 결과이다.

종 래 개발부처의 개발논리에 대응하기 에 크게 힘이 부쳐왔던 환경부가 이제는 정부부처 가운데서도 영향력 있는 부처로서 그 위상이 정립되어 정부정책 결정에 있어 개발부처 못지 않는 환경보전의 당위성에 관한 강력한 의견을 내놓을 수 있는 분위기가 형성되고 있는 것 또한 국민의 정부 3년간의 전향적 인 변화라 할 것이다.

o 그러나 개발 욕구가 분출하고 있는 본격적인 지방자치제하에서 지역 주민과 시민단체로부터의 지지와 협력없이는 규제와 비용 부담을 수반 하는 새로운 환경정책을 수립하는 것은 대단히 어렵다.

1998년 한강대책과 1999년 낙동강 대책, 그리고 2000 년 금강· 영산강대책 수립과정에서 노정되었던 환경부와 지역주민간 의 첨예한 대립관계를 끊임없는 대화와 설득을 거쳐 협력의 관계 로 승화, 중앙정부와 지방정부 그리고 주민과의 합의에 의해 대책 을 확정한 것은 향후 환경정책의 수립에 있어서 좋은 본보 기가 된다 할 것이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