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

전체보기

자주찾는 메뉴메뉴   선택   후   저장   버튼을   눌러주세요(최대   6개   지정)

  • 정보공개
  • 국민소통
  • 법령·정책
  • 발행물
  • 알림·홍보
  • 기관소개

보도·설명

  • 홈으로
게시물 조회
정수처리기준 및 바이러스 분석방법 용역결과 발표
  • 등록자명
    김창수
  • 부서명
    김창수
  • 조회수
    7,911
  • 등록일자
    2002-01-23
■국립환경연구원에서는 2001. 5월 7개부처 합동으로 발표한 수돗물수
질관리강화 종합대책의 후속 조치로 한국수자원공사, 대한바이러스학
회 및 관련 분야 전문가들에게 의뢰하여 「병원성 미생물의 제거를 위
한 「정수 처리기술기준」과 「바이러스 표준분석방법 및 분석기관  
인증제도」(안) 마련을 위한 용역발주
■한국수자원공사와 관계 전문가들로 구성된 연구용역팀은 정수처리  
기준으로 미국에서 시행중인 처리기준(Treatment Tcecnique)에 준하
는 기준안을 제안
※ 시설용량 1일 50,000만톤 이상 정수장 원수에 대한 바이러스
및 원생동물   모니터링 조사 의무화
■대한바이러스학회에서는 표준분석방법으로 총배양성바이러스분석법
을  제안하고 측정자료의 신뢰성과 정확성 확보를 위해 분석기관 인증
제안을 마련
■이번 용역사업결과는 앞으로 지방자치단체·시민단체·업계·학계
등의 의견수렴('01.12-'02.1)을 통해 시안을 확정하고, 2002년 2월
중 제도화할 예정임.
국립환경연구원은 '01년 5월 관계부처 합동으로 수립·발표한 "수
돗물수질관리강화 종합대책"의 후속조치로 한국수자원공사, 대한바이
러스학회 및 관련 분야 전문가들에게 의뢰하여 바이러스를 비롯한 병
원성미생물의  관리강화를 위한 정수처리기준(Treatment Technique)
과 바이러스표준분석방법 및 분석기관 인증제 마련을 위한 학술용역연
구를 수행하고, 그 결과를 발표하였다.
한국수자원공사와 대한바이러스학회는 용역결과에 대해 전문가 토
론회 및 먹는물관리위원회의 자문을 받아 제도도입을 위한 초안을 마
련하였다.
<연구사업 개요>
국립환경연구원은 '01년 5월 관계부처 합동으로 수립·발표한 "수
돗물수질관리강화 종합대책"의 후속조치로 한국수자원공사, 대한바이
러스학회 및 관련 분야 전문가들에게 의뢰하여 바이러스를 비롯한 병
원성미생물의  관리강화를 위한 정수처리기준(Treatment Technique)
과 바이러스표준분석방법 및 분석기관 인증제 마련을 위한 학술용역연
구를 수행하고, 그 결과를 발표하였다.
한국수자원공사와 대한바이러스학회는 용역결과에 대해 전문가 토
론회 및 먹는물관리위원회의 자문을 받아 제도도입을 위한 초안을 마
련하였다.
<연구사업 개요>
===============================================================
과 제 명       용역기간   수행자   추 진 현 황
===============================================================
정수처리기술기준 '01.7.18∼  한국     -정수처리기술기준안 마련
제정에 관한 연구 '02.3.17    수자원   -정수장안전관리인증제는  
(150백만원) 공사      '02.3 완료예정
---------------------------------------------------------------
바이러스표준분석 '01.10.15∼ 대한     -표준분석방법 및 분석
방법 및 분석기관  01.12.14   바이러스  기관 인증제안 마련
인증제도 연구    (2.9백만원) 학회
===============================================================
국립환경연구원에서는 앞으로 이번에 발표된 용역결과에 대하여
2002년 1월 중 지방자치단체·시민단체·업계·학계를 대상으로 설명
회를 개최하여 폭넓은 의견을 수렴한 후 제도안을 확정할 계획이다.
또한, 환경부에서는 국립환경연구원에서 확정한 제도안을 2002년 2
월 중 먹는물관리위원회에 안건으로 다시 상정하고 관계부처와 협의하
여 정부안을 확정하고, 환경부고시로 제정하여 운영할 계획이다.
[미생물관리를 위한 정수처리기준]
한국수자원공사와 상수도전문가로 구성된 연구용역팀에서는 바
이러스에 대한 정기적인 수질검사를 실시하는 것이 경제적·기술적으
로 어려울 뿐만 아니라 비합리적이므로 여과와 소독공정을 강화하여
바이러스를 안전한 수준으로 처리하는 정수처리기준안을 마련하였으
며, 주요내용으로는
- 바이러스 99.99%, 지아디아(Giardia) 99.9%이상을 제거
목표로  탁도와 소독에 대한 기준 및 측정주기를 강화하는 한편 기준
초과시 초과정도에 따라 시설개선, 주민 공고 등 필요한 조치를 의무
화하였고,
- 특히, 정수처리기준이 국내에 최초로 도입되는 점을 고려하
여    정수처리기준의 효용성 검증 및 제도보완 등을 위해 시설용량 1
일 50,000톤 이상의 정수장(78개소) 원수에서 바이러스와 원생동물인
지아디아 및 크립토스포리디움의 실태조사를 실시할 것을 제안하였
다.
- 또한, 위의 미생물들이 일정 농도이상(바이러스 100
MPN/100L, 지아디아·그립토스포리디움 1,000 개체/100L)으로 검출된
때에는 정수에서도 검사를 실시할 것을 제안하였다.
이러한 정수처리기준안은 미국의 환경보호청(EPA)에서 원생동물
의 관리강화를 위하여 2001. 12. 17부터 시행하는 정수처리기준 수준
에 준하는 매우 강화된 수준이며, 시설개선을 위한 소요기간 등 국내
여건을 감안하여 시행시기는 정수장 규모별로 경과규정을 마련하였다.
[바이러스 표준분석방법 및 분석기관 인증제도]
대한바이러스학회에서는 바이러스표준분석방법으로 미국과 호
주 등  선진국의 사례를 비교·검토하고, 분석방법에 대한 구체적인
절차가 확립되어 감염성 여부를 확인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위해성 평
가 등에 활용이 가능한 총배양성바이러스분석법을 표준분석방법으로
제안하였다.
- 또한, 분석과정에서 오염으로 인한 오류 등을 최소화하기 위
하여 시료채취과정, 시료전처리과정, 바이러스분석과정 등에 대한 분
석절차와 정도관리를 세부적으로 제안하였다.
아울러 미국 환경보호청(EPA)의 정보수집규정(ICR)에 규정된 실
험실정도보증계획(Laboratory Quality Assurance Plan)에 준하는    
바이러스분석기관인증제도안을 제안하였다.
- 분석기관 인증제도는 분석기관의 지정, 지정된 분석기관의 관
리 및 분석자료의 검증 등에 활용되며, 공정성과 전문성을 높이기 위
해 국립환경연구원에 교수 등 전문가 13인으로 평가위원회를 설치·운
영할 것을 제안하였다.
국립환경연구원에서는 선진외국에서 수돗물 수질관리의 주요 관
심사항이 되고 있는 원생동물에 대한 체계적인 실태조사와 관리대책
의 추진을 위하여 앞으로 지아디아와 크립토스포리디움에 대한 표준분
석방법 및   분석기관 인증제도 또한 조속히 마련할 계획이다.
붙임 : 용역결과로 제안된 정수처리기준 및 바이러스분석방법·분석기
관 인증제의 주요내용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