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

전체보기

자주찾는 메뉴메뉴   선택   후   저장   버튼을   눌러주세요(최대   6개   지정)

  • 정보공개
  • 국민소통
  • 법령·정책
  • 발행물
  • 알림·홍보
  • 기관소개

보도·설명

  • 홈으로
게시물 조회
전국매립장 폐기물반입량 감소 추세
  • 등록자명
    진원기
  • 부서명
    생활폐기물과
  • 연락처
    2110-6930
  • 조회수
    5,799
  • 등록일자
    2005-05-27
□ 음식물류폐기물 직매립 금지 등 연간매립량 감소로 매립지 수명 매년2개월 연장 전망
폐기물 감량화 추진과 함께 매립율을 2011년까지 17%로 감소시켜 매립지 사용기간을 늘려나갈 계획
■ 환경부가 지방자치단체에서 운영하고 있는 생활폐기물 매립지에 대한 실태조사 결과 2004년말 기준으로 전국에서 사용중인 매립시설은 총 235개소로서 ''03년말 보다 3개소가 감소된 것으로 나타났다.
매립시설 규모로는 1만㎡ 미만인 소규모 매립시설이 108개소로 시설 총수의 약 절반(46%)을 차지하고 있으나, 10만㎡이상의 대규모 시설은 23개소로서 전체 매립용량은 88%를 차지하고 있다.
- 시·도별 보유현황은 경북(53개소), 전남(49개소), 강원(28개소) 순으로 인구수에 관계없이 농어촌지역의 시설수가 많은 것으로 나타남
향후 매립지 사용기간을 보면 서울시·인천시·경기도가 사용하는 수도권매립지(19,582천㎡)는 앞으로 23년정도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며
- 수도권매립지를 제외할 경우에는 약 7년 사용이 가능하며, 잔여사용기간이 짧은 지자체에서는 지속적으로 매립시설 확충이 필요하다.
- 사용기간이 2~3년 남아있는 부산·대구·울산광역시의 경우는 현재 증설사업을 추진 중에 있어 이 사업이 완공되면 8년 이상 사용기간이 늘어나게 된다.
특히, 금년 1월부터 도입된 음식물류폐기물 직매립 금지와 감량화 추진으로 매립장 반입량이 대폭 감소되어 매립지 수명이 매년 약2개월 이상 연장될 것으로 전망된다.
- ''03년 대비 ''04년 매립감소량 : 2,236천㎥(''03년 15,644천㎥,  ''04년 13,408천㎥ 매립)
■ 또한, 이번 조사결과, 폐기물관리법에 의하여 설치승인을 받지 아니한 매립시설은 8개소이며, 차수시설을 설치하지 않은 매립장도 2개소로 조사되었다.
매립장에서 발생하는 침출수는 하루 15,470㎥으로
- 처리방법별로는 자체 처리후 방류하는 곳이 61개소(5,625㎥), 전처리 후 이송하는 곳이 71개소(7,322㎥) 등이다.
또한, 침출수 유출여부를 검사하는 지하수 검사정이 미설치 되었거나 설치기준(상류1개소, 하류2개소)에 미달인 곳은 8개소로 조사되었다.
- 지하수 검사정 미설치 6개소, 설치기준 미달 : 2개소
■ 환경부는 생활폐기물의 감량화 정책과 아울러 재활용량을 촉진하고,  제2차 국가폐기물관리종합계획에 따라 매립율을 2011년도에는 17%까지 감소시켜(''03년도 40.3%) 매립지 사용기간을 늘려 국토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계획이다.
이번 조사에서 설치승인을 받지 않고 사용중이거나 차수시설 및 지하수검사정이 미비한 시설은 중점관리 대상시설(12개소)로 지정하여 관리하고
- 신규 위생매립시설이 설치 중에 있는 지역은 관리를 철저히 하고 시설이 완공된 시점에 폐쇄하도록 조치할 계획이다.
※붙 임
1. 시설규모별 매립시설 현황
2. 시·도별 매립시설 설치현황
3. 시·도별 설치승인 현황
4. 차수시설 설치현황
5. 시·도별 침출수 처리시설, 발생 및 처리현황.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