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

전체보기

자주찾는 메뉴메뉴   선택   후   저장   버튼을   눌러주세요(최대   6개   지정)

  • 정보공개
  • 국민소통
  • 법령·정책
  • 발행물
  • 알림·홍보
  • 기관소개

보도·설명

  • 홈으로
게시물 조회
(공동-설명)발생지역 주변은 감염전파 우려를 고려하여 임시차단망 및 포획틀·트랩을 설치하고, 민통선 이북 및 외곽지역은 대대적 총기 포획에 총력(헤럴드경제 10.17일자 보도에 대한 설명)
  • 등록자명
    홍경표
  • 부서명
    ASF 총괄대응팀
  • 연락처
    044-201-7500
  • 조회수
    4,054
  • 등록일자
    2019-10-17

정부는 멧돼지의 이동으로 인한 바이러스 확산을 방지하기 위해 민통선 이북지역과 1차 차단지역 및 경계지역의 멧돼지를 전면 제거하고, 포획이 금지된 발생·완충지역 주변은 신속한 멧돼지 이동 차단시설 설치와 포획틀·트랩 설치로 이동을 방지할 계획

  

2019.10.17일 헤럴드경제 <멧돼지發 돼지열병 속출... "전국 확산 시간문제"> 보도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설명 드립니다.


1. 기사 내용


정부가 뒤늦게 나섰지만 차단지역 멧돼지 제로화를 할 수 있을지 의문이며 전국으로 확산되는 것이 시간문제 아니냐는 우려


2. 동 보도내용에 대한 ASF 중앙사고수습본부 설명내용


정부는 지난 5월 북한에 ASF 발생이 확인된 이후 접경지역을 통한 바이러스 유입 가능성 등을 고려하여 접경지역 멧돼지에 대한 총기 포획을 강화하고, 6월부터는 전국 양돈농가 주변까지 총기 포획을 확대해 멧돼지 개체수 조절에 나섰습니다.

실제로 멧돼지 포획은 이전 대비 전국은 2배, 접경지역은 2.8배 증가하는 등 멧돼지 개체수 조절을 추진하였습니다.

9.16일 사육돼지에서 아프리카돼지열병이 발생한 후에는 멧돼지 이동 유발 등의 우려가 있어 양돈농가 발생지역 등을 제외했지만 총기 포획 원칙을 일관성 있게 적용하고 있습니다.

10.2일 야생멧돼지에서 아프리카돼지열병이 최초로 확인된 후 정부는 연천과 철원 지역의 감염 멧돼지가 이동하여 바이러스를 주변으로 확산되지 않도록 멧돼지 이동 차단시설 설치 및 포획 틀·트랩 추가를 신속히 추진 하였습니다.

감염 폐사체 발견지역을 중심으로 감염위험지역을 설정하고 20일까지 1차 차단시설(전기 철책) 설치를 완료할 계획입니다. 현재 3개소 중 2개소 설치가 완료되었습니다.

※ 당초 18일까지 완료예정이었으나 추가 감염 개체 발견으로 설치구간 확대


민통선 이북 지역과 1차 차단지역 및 경계지역은 멧돼지를 전면적으로 제거하고 그 외 지역(2차 차단지역 이남)에서도 대대적 포획을 실시할 계획입니다.

- 우선, 민통선 이북지역(감염·위험지역 제외)에는 현재 민·관·군 합동 포획팀을 동시에 투입하여 대대적인 포획을 실시하고 있습니다.

- 1차·2차 차단지역과 경계지역 등 외곽지역에는 시·군 민간포획단을 집중 투입하는 한편, 멧돼지 일제포획 주간 운영과 무료 수렵장 활용 등 민간 참여 포획도 강화할 것입니다.

- 또한, 2차 차단지역 이남인 그 외 지역에 대해서는 시군 포획단을 동원하여 포획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총기 포획이 금지된 발생·완충지역에는 포획틀과 포획트랩을 집중적으로 설치해 멧돼지의 이동을 최소화하고, 향후 차단지역 멧돼지 제로화, 차단시설 설치 등 여건을 검토하여 단계적으로 총기 포획을 허용할 계획입니다.


정부는 지자체와 전문가 의견 수렴 등을 통해 일부 지역을 총기 포획 가능지역으로 조정하는 등 현장의 목소리를 반영하고, 지자체에는 총기 포획 가능지역을 명확히 알려, 멧돼지 포획이 신속히 이루어지도록 할 것입니다.

또한 포획된 멧돼지 사체는 매몰·소독 처리해 2차 오염을 방지하고 표본·전수 조사를 통해 아프리카돼지열병 바이러스 여부에 대해서도 검사할 계획입니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