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

전체보기

자주찾는 메뉴메뉴   선택   후   저장   버튼을   눌러주세요(최대   6개   지정)

  • 정보공개
  • 국민소통
  • 법령·정책
  • 발행물
  • 알림·홍보
  • 기관소개

보도·설명

  • 홈으로
게시물 조회
(공동-설명) 위해성이 확인된 제품만반입을 차단하겠습니다.
  • 등록자명
    김세혁
  • 부서명
    화학제품관리과
  • 연락처
    044-201-6809
  • 조회수
    1,660
  • 등록일자
    2024-05-18

▷ 5.17(금) MBC, JTBC 등에서 ‘지나친 통제’, ‘국민의 선택권 제한’ 비판 등 보도에 대한 설명 및 온라인 상 제기되는 이슈에 대한 설명


1. 정부 대책의 취지


정부는 해외직구를 통해 국민의 건강과 안전에 직결되는 제품이 어떠한 안전장치도 없이 국내에 반입되고 있는 상황에서, 국민의 건강과 안전을 최우선으로 보호하고자 5.16일 관련 대책을 발표했습니다.


이번 대책에서 언급된 80개 품목은 어린이가 사용하여 각별한 관리가 필요한 제품, 화재 등 사고 발생이 우려되는 일부 전기·생활용품, 유해성분 노출 시 심각한 위해가 우려되는 생활화학제품으로, 해외직구를 통해서도 안전한 제품이 반입될 필요성이 높은 품목입니다. 


2. 어린이제품 등 80개 품목 반입차단 시행 관련


80개 품목 전체에 대해서 해외직구가 당장 금지되는 것은 아닙니다.


산업부, 환경부 등 품목 소관부처가 해외직구 제품에 대한 위해성 검사를 집중 실시한 후, 6월 중 실제로 위해성이 확인된 제품의 반입을 차단할 계획입니다. 


반입 차단 시행 과정에서도 국민의 불편이 없도록 세부 가이드라인을 마련할 것입니다. 


예를 들어, 온라인 상에서 제기되는 성인용(만 13세 초과 사용) 피규어는 어린이 제품에 포함되지 않으며, 만 13세 이하가 사용하는 어린이 피규어 제품만 위해성 검사를 실시하여 실제로 위해성이 확인된 제품의 반입을 차단하게 됩니다. 


위해 우려가 높아 반입을 차단할 품목을 확정하기 위해서는 법률 개정이 필요합니다. 


정부는 해외직구 이용에 대한 국민의 불편이 없도록 법률 개정 과정에서 국회 논의 등 충분한 공론화를 거쳐 합리적인 방안을 마련해 나갈 것입니다. 


3. 주류, 골프채 등 대책 제외 품목 관련


이번 대책에서 주류, 골프채 등이 제외되어 있다는 온라인 상의 의견에 대해서도 설명드립니다.


이번 대책은 어린이가 사용하거나, 화재 등 사고 발생이 우려되거나, 유해성분 노출 등으로 신체 위해 우려가 높은 제품들이 우선 고려되었습니다.


이번 대책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제품들도 위해성이 확인된다면 반입 차단 등 대책을 추가 검토해 나가겠습니다. 


4. KC 인증기관 민영화 관련


이번 대책의 배경이 KC 인증기관의 민영화와 관련이 있다는 온라인 상의 의견에 대해서도 설명드립니다. 


KC 인증은 현재도 민간 인증기관이 시행하고 있습니다. 


최근 정부가 규제개선 과제로 추진하고 있는 것은 KC 인증기관을 비영리기관에서 영리기관으로도 확대*하여 기관 간 경쟁 촉진을 통한 인증 기간 단축, 인증 서비스 개선 등 기업 애로를 해소하려는 것으로, 이번 해외직구 대책과는 관계가 없는 내용입니다. 

   * 전기용품 및 생활용품 안전관리법 시행령 개정중


5. 위해 제품에 대해서는 동일 적용


알리, 테무 등 일부 플랫폼만 규제하고 다른 플랫폼에는 적용하지 않아야 한다는 온라인 상의 의견에 대해서도 설명드립니다. 


최근 언론에서 주로 언급되고 있는 알리, 테무 등 중국 플랫폼 외에도 여타 온라인 플랫폼에서도 위해 제품 판매가 확인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어느 플랫폼인지와 상관없이 위해 제품의 반입을 차단하겠습니다.


담당 부서  국무조정실 산업과학중기정책관실 책임자 과  장 이승규 (044-200-2211) 담당자 사무관 김동빈 (044-200-2212)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 제품안전정책과 책임자 과  장 오유천 (043-870-5410) 담당자 연구관 김창용 (043-870-5419)  환경부 화학제품관리과 책임자 과  장 권병철 (044-201-6805) 담당자 사무관 김세혁 (044-201-6809)  관세청 전자상거래통관과 책임자 과  장 김용철 (042-481-7840) 담당자 사무관 김성익 (042-481-7835)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