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

전체보기

자주찾는 메뉴메뉴   선택   후   저장   버튼을   눌러주세요(최대   6개   지정)

  • 정보공개
  • 국민소통
  • 법령·정책
  • 발행물
  • 알림·홍보
  • 기관소개

보도·설명

  • 홈으로
게시물 조회
한·중 환경장관, 황사정보 공유 약정 체결
  • 등록자명
    고종희
  • 부서명
    해외협력담당관
  • 연락처
    2110-7909
  • 조회수
    6,005
  • 등록일자
    2005-06-08
□ 중국내 황사 발원지 및 한반도 이동경로상 6개 관측소의 황사(PM10) 및 기상정보를 실시간으로 공유
◦ 1단계로, 약정 체결 직후부터 황사 발생시 6개 관측소의 시간대별 황사 관측 데이터(PM10)를 업무시간 4시간 이내 이메일로 우리나라에 전송
◦ 2단계로, 2006년~2007년 중 6개 관측소의 관측장비 및 전송시스템을 개량하고, 2008년부터 황사(PM10) 및 기상정보를 우리나라에 실시간으로 제공
또한 양국장관은 공동기술개발, 환경시장 정보 공유 등 한·중간 환경산업 분야 협력을 보다 강화하기로 합의
◦ 국내 환경산업체의 중국 진출을 가속화시킬 수 있는 계기로 작용 기대
■ 중국을 방문 중인 곽결호 환경부장관은 6월 7일, 중국 국가환경보호총국의 씨에쩐화(解振華) 장관과 ‘한·중 환경장관회의’를 갖고 「황사 모니터링과 정보 공유 네트워크 구축」에 관한 협력약정(Arrangement)을 체결하였다.
◦ 약정에 따르면, 중국 환경당국이 운영하고 있는 43개의 관측소 중 황사발원지와 한반도 이동경로 상에 있는 6개소의 황사(PM10: 미세먼지농도) 및 기상정보가 우리나라에 실시간으로 제공되게 된다.
* 관측소 지점 : 자동측정소 3개(Shenyang(선양), Tianjin(텐진), Huhehot(후허하오터)) 수동측정소 3개(Damao(다마오), Erlian(얼렌), Baicheng(바이청)
◦ 황사정보 공유시스템의 구축은 2006~2007년간 관측장비 및 전송시스템의 개량과 운영자 교육을 통해 오는 2008년부터 본격 가동될 예정이며, 그 이전에도 6개 관측소의 황사 관측데이터와 47개 도시의 아황산가스, 질소산화물 등 대기질 정보가 이메일로 우리측에 전송된다.
◦ 동 사업에 필요한 자동 관측장비 설치와 전송시스템 구축에는 우리측 KOICA 자금(563백만원)이 지원되며, 운영에 소요되는 비용은 중국측이 부담하게 된다.
◦ 금번 약정 체결로 금년 5월부터 가동된 양국 기상청간의 황사정보 제공 협력사업(5개 관측소)에 추가하여 6개소의 중국현지 관측정보를 실시간으로 입수할 수 있게 됨으로써 보다 정확한 황사 예·경보가 가능하게 될 것으로 기대된다.
* 양국 기상청 공동 관측소 지점 : Dalian(大連) , Huimin(惠民), Tongliao(通遼), Zhurihe(朱日和), Yushe(楡社)
■ 또한 이날 ‘한·중 환경장관회의’에서는 양국 정부가 추진하는 ‘공동기술개발’, ‘초청연수’ 및 ‘한국 환경산업·기술 지방설명회’ 등을 통해 양국 환경산업체의 교류가 활성화될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되었다고 평가하고 ‘한·중 환경산업·시장 정보망’ 구축 등 신규사업에도 계속 협력키로 합의되었다.
■ 한편, 곽 장관은 인민정치협상회의(政協) 쟈칭린(賈慶林, 당서열 4위) 주석, 국가환보총국 씨에쩐화(解振華) 장관과 함께 ‘제9회 중국 국제환경보호전’ 개막행사에도 참가, 동 전시회에 참가한 국내 21개 환경산업체를 방문·격려하였다.
◦ 이어서 양국 장관은 ‘한·중 환경산업포럼’에도 함께 참석하여 정부·산업체 관계자 200여 명과 환경산업의 교류·협력방안을 논의하였다.
■ 환경부 관계자는 이러한 곽 장관의 환경세일즈 외교를 통해 국내 우수 환경산업체의 중국 진출을 가속화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였다고 평가하며, 후속 사업의 원활한 이행을 통해 우리 환경산업의 해외진출을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 중국은 최근 계속되는 고도 경제성장과 ''08년 북경올림픽, ''10년 상해엑스포 등 대규모 국제행사의 유치로 인해 환경분야에 대한 투자를 지속적으로 확대하고 있어 세계 환경산업체들의 투자대상으로 급부상하고 있다.
※ 참고 자료
1. ‘한·중 황사정보공유 약정’ 주요 내용
2. ‘한·중 황사정보공유 약정’ 전문(국문)
3. 쟈칭린(賈慶林) 政協 주석 약력
4. 해진화(解振華) 國家環保總局 장관 약력
5. 한·중 환경산업 협력현황
6. 제9회 중국 국제환경보호전시회 개요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