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

전체보기

자주찾는 메뉴메뉴   선택   후   저장   버튼을   눌러주세요(최대   6개   지정)

  • 정보공개
  • 국민소통
  • 법령·정책
  • 발행물
  • 알림·홍보
  • 기관소개

보도·설명

  • 홈으로
게시물 조회
ET산업, 차세대 성장산업으로 중점 육성
  • 등록자명
    박미자
  • 부서명
    환경경제과
  • 조회수
    10,058
  • 등록일자
    2001-09-16
- 8.17일 대통령 주재 국민경제자문회의에서 의지 재천명 -
정부는 8.17일 열린 대통령 자문기구인 국민경제자문회의에서 환경
기술(ET)을 정보기술(IT)·생명기술(BT)·나노기술(NT)·문화기술(CT)
과 함께 지식정보화시대의 차세대 성장동력으로 중점 육성하기로 하
고,
- 5개 분야의 기술력을 획기적으로 제고할 수 있도록 국내외 역량
을 최대한 집결하기로 했다.
- 이날 차세대 성장산업 전략회의는 5T기술 분야의 시장 확대에 따
라 각국의 시장 선점을 위한 경쟁이 심화되고 있음을 고려할 때 국가
적인 육성 전략이 절실히 필요하다는 인식에 따라 추진된 것이다.
이날 회의에서 김 명자 환경부장관은 우리나라 ET산업은 세계환경
시장 확대와 개도국의 환경수요 증대라는 새로운 기회(機會)를 맞는
한편으로
- 국내 환경투자 위축과 환경친화적 산업구조로의 전환 지체 등 위
기(危機) 국면을 동시에 맞고 있으나, 긍정적으로 보면 성장가능성이
매우 크기 때문에 전략적 접근이 더욱 중요하다고 말하고,
- 앞으로 관계부처와 긴밀한 협조하에 ET산업 발전전략을 차질없
이 추진하여 ET산업을 21세기 성장동력으로 확충하는 동시에 국민의
환경복지를 향상시킴으로써 지속가능한 국가발전 구현에 최선을 다하
겠다고 다짐했다.
이날 발표된 ET산업 발전전략은  
① "선택과 집중"으로 유망ET기술 중점개발[환경부,과기부,산자
부]  
② 경쟁력 있는 ET기술의 실용화·사업화 촉진[환경부, 산자부]
③ 환경산업 해외진출 확대[환경부, 산자부]
④ 안정적인 수요기반 확보를 위한 환경시장 수요 창출[환경부, 산
자부]
⑤ 환경전문인력 양성 등 인프라 구축[환경부, 산자부]을 주요내용
으로 하고 있다.
이를 효율적으로 추진하기 위하여 9개 부처 공동으로 작성한 『환
경산업 발전전략』을 차질없이 추진하고,
- 차세대 핵심환경기술 개발, 우수 환경신기술 실용화 및 ET산업해
외진출 확대에 특히 초점을 두기로 하였으며,
- 5T분야에 대한 정부예산 지원을 '05년까지 연평균 20%이상 확대
(전체 R&D 예산증가율 10.5% 수준)하기로 하는 등 정부의 강력한 의지
를 재천명했다는데 큰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붙임 : ET산업 발전전략
첨부파일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