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

전체보기

자주찾는 메뉴메뉴   선택   후   저장   버튼을   눌러주세요(최대   6개   지정)

  • 정보공개
  • 국민소통
  • 법령·정책
  • 발행물
  • 알림·홍보
  • 기관소개

보도·설명

  • 홈으로
게시물 조회
매일경제 “낙동강서 발암물질 대량검출 - 장마 틈타 구미공단업체가 배출한 듯- ” 기사에 대하여
  • 등록자명
    김효정
  • 부서명
    산업폐수과
  • 연락처
    02-2110-6846
  • 조회수
    8,792
  • 등록일자
    2006-07-28
 

2006년 7월 28일 매일경제

“낙동강서 발암물질 대량검출 - 장마 틈타 구미공단업체가 배출한 듯- ”

기사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해명합니다.


□ 보도 주요내용 


 ○ 환경부와 일부 지방자치단체 공동으로 낙동강 주요 취수장 수질을 점검한 결과 갑상선과 암을 유발

    하는 ‘퍼클로레이트’가 다량 검출(미국 환경청 기준 초과)


 ○ 정부는 장마가 끝난 뒤 정확한 수치를 다시 측정하여 대책을 마련한다는 이유로 이를 발표하지

    않고 함구


□ 해명사항


   ‘퍼클로레이트’가 발암물질이라는 기사내용은 사실이 아니며, 낙동강 취수장에서

   미국 환경청 기준을 초과하는 퍼클로레이트가 검출되었다는 내용 또한 사실이 아님


 ○ 퍼클로레이트는 로켓추진제 등 군수용품 제조, 전기도금업, 염료·안료 제조업 등에 사용되는

    물질로 호흡기, 피부 등을 자극하고 과다노출시 갑상선 장애를 유발할 수 있으나, 발암

   물질로는 분류되지 않음

  - 전세계적으로 퍼클로레이트에 대한 국가 차원의 규제기준은 아직 없으나, 미국 환경보호청

   (EPA)은 가장 민감한 사람에 대한 음용수 농도를 24.5㎍/L로 권고하고 있음

  - 퍼클로레이트의 위해성에 대한 국내 연구는 아직 초기 단계로서, 먹는물 수질기준, 배출

   허용기준 등 각종 기준이 설정되어 있지 않고 유해화학물질관리법상 유독물, 관찰물질 등

    으로도 지정되어 있지 않고 있음


 ○ 부산시와 학계에서 지난 6월 낙동강 수계 및 일부 취·정수장을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에서 퍼클로

    레이트의 검출을 확인하고, 정부 차원의 조사 및 대책 마련을 위해 환경부는 7월 낙동강 수계

   등에서 퍼클로레이트 검출 조사를 실시하였음

  - 조사 결과 낙동강 수계의 구미하수처리장 하류에서부터 검출되었으며,

조사

일시

구미

대교

구미

하수처리장

왜관

철교

왜관

하수처리장

성주

대교

서부

하수처리장 

대구

현풍

유입수

방류수

유입수

방류수

유입수

방류수

7.7

불검출

1,892

800.3

23.3

11.1

6.1

17.8

불검출

118.2

15.0

7.12

-

889.1

740.0

5.4

-

-

불검출

불검출

불검출

불검출

7.26

-

1522.4

1224.3

17.7

-

-

9.5

1.5

1.8

7.9

  - 일부 취·정수장에서 퍼클로레이트가 검출되었으나, 그 농도는 미국 환경보호청(EPA)

   의 음용수 권고 수준(24.5㎍/L)을 초과하지는 않았음

                                                                                                             (단위 : ㎍/L)

         조사 일시

취(정)수장

7.7

7.12

7.26

원수

정수

원수

정수

원수

정수

매곡(매곡)

16.2

17.9

불검출

8.4

7.4

8.3

강정(두류)

16.1

19.1

불검출

6.2

7.2

8.6

매리(덕산)

불검출

6.8

불검출

불검출

불검출

불검출

물금(화명)

불검출

5.0

불검출

불검출

불검출

불검출

칠서(칠서)

불검출

불검출

-

-

-

-

창암(삼계)

불검출

6.4

불검출

불검출

불검출

불검출


 ○ 낙동강 수계의 배출원을 추적한 결과 구미산업단지 내 A社가 제조공정에서 사용하는 세정제에

    함유된 퍼클로레이트가 배출되고 있는 것으로 확인하였으며, 업체가 장마를 틈타 고의적으로

   배출하고 있는 것은 아님

  - 배출업체는 폐수처리 방법을 화학적처리에서 생물화학적처리로 변경하여 퍼클로레이트를

    상당히 저감하고 있으며, 근본적인 해결을 위해 퍼클로레이트가 함유되지 않은 대체 세정제를

     금년 내에 개발할 예정


 ○ 환경부는 퍼클로레이트로부터 음용수의 안전을 지키기 위하여 필요한 퍼클로레이트 배출가이드

    라인을 설정하고 기업, 관할 지방자치단체, 유역(지방)환경청 3자간의 자발적 협약 체결을 추진할

    계획이며,

  - 전국 주요 수계 및 취·정수장에 대한 모니터링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먹는물 감시항목’으로 지정,

    관리할 예정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