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

전체보기

자주찾는 메뉴메뉴   선택   후   저장   버튼을   눌러주세요(최대   6개   지정)

  • 정보공개
  • 국민소통
  • 법령·정책
  • 발행물
  • 알림·홍보
  • 기관소개

보도·설명

  • 홈으로
게시물 조회
9곳에 흩어진 물정보, 한곳에서 쉽게 본다
  • 등록자명
    이희선
  • 부서명
    물이용정책과
  • 연락처
    044-201-7146
  • 조회수
    765
  • 등록일자
    2024-06-12

▷ 수질, 수자원, 가뭄, 하천 등 분산된 물 관련 정보를 지리정보체계(GIS) 기반으로 통합한 ‘국가 통합물관리정보플랫폼’ 2028년 구축 목표로 추진


환경부(장관 한화진)와 국립환경과학원(원장 금한승)은 수질, 수자원 등 여러 곳의 시스템에 흩어져 있는 물 관련 정보를 표준화하고 통합하기 위해 ‘국가 통합물관리정보플랫폼’ 구축 사업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현재 물 관련 정보는 9곳의 시스템*에 분산되어 있어 관련 정보를 한눈에 확인하기 어렵고, 세부적인 물 정보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개별 시스템에 접속하여 자료를 확인해야 했다.

* 물환경정보시스템, 국가수자원관리종합정보시스템, 가뭄정보시스템, 하천관리정보시스템, 국가상수도정보시스템, 국가하수도정보시스템, 국가지하수정보시스템, 물정보포털, 홍수통제소 


예를 들어 △수질은 물환경정보시스템에서, △수자원은 국가수자원관리종합정보시스템에서, △가뭄은 가뭄정보시스템에서, △하천은 하천관리정보시스템에서 확인하는 방식이다. 아울러 시스템별로 기초자료 형식이 일치하지 않고, 물관련 통계 및 국가 정책 자료 등에서 일부 유사한 내용이 중복으로 게재되어 물 관련 정보 관리의 효율성도 떨어졌다.


환경부는 이렇게 분산된 물 관련 시스템을 통합하기 위해 먼저 국가 통합물관리정보플랫폼 구축을 위한 정보화전략계획을 수립(’21.6~’22.10)했고, 관계기관 협의체를 구성하여 효과적인 시스템 통합 방안을 논의했다.       


이에 환경부는 올해 34억 원의 예산을 투입하여 물 관련 정보 형식을 표준화하는데 착수하고, 물 관련 정보를 지리정보 기반으로 한눈에 확인할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할 예정이다. 


또한 내년부터는 물환경정보시스템 및 국가수자원관리종합정보시스템의 통·폐합을 시작으로 2028년까지 9개 시스템을 통합하고 물 관리 정보에 대한 융·복합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지속적으로 기능을 개선할 계획이다.

 

2028년 ‘국가 통합물관리정보플랫폼’ 구축 사업이 완료되면, 우리 동네의 수질, 수생태계, 수자원, 상·하수도 등 모든 물 관련 정보를 하나의 누리집에서 지리정보 기반으로 한눈에 확인할 수 있고, 통합된 물 관련 정보를 받을 수 있게 된다. 


이승환 환경부 물이용정책관은 “지리정보에 기반한 통합된 물관리 정보를 한곳에 구축하여 국민은 더욱 편리하게 물 관련 정보를 확인할 수 있고, 정부는 더욱 효율적으로 일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할 계획”이라며, “환경부 소속·산하 기관 등 물관리 기관 간 협업을 통해 물 관련 정보에 대한 접근성을 높이고, 통합 물정보 분석·활용이 가능한 국민 맞춤형 플랫폼을 구축하겠다”라고 밝혔다. 


붙임 「국가 통합물관리정보플랫폼」구축(’24~’28).  끝. 


 담당 부서 환경부 책임자 과  장  이정용 (044-201-7140)  물이용정책과 담당자 사무관 이희선 (044-201-7146)  국립환경과학원 책임자 과  장  김경현 (032-560-7470)  물환경평가연구과 담당자 연구관 최희락 (032-560-7476)
 

목록